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재단뉴스
재단뉴스

북미 아시아학회AAS 연례 학술대회 참가

 

재단은 3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 동안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2018 북미 아시아학회AAS 연례 학술대회에 참석하여 특별 세션을 구성하고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였다. 세션의 주제는 “Rethinking Geopolitics and Collective Identity in the Age of Ming-Qing Transition Period: A Historical Perspective·청 교체기 동북아 국제 정세의 재고찰로 중화제국론이 아닌 한국사의 입장에서 동북아 국제 관계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연구방법론 개발을 위해 기획한 것이다. 재단이 주관한 이 세션에는 이정일 재단 연구위원, 토마스 쿼터메인 박사옥스퍼드대, 이선애 박사고려대, 박새영 교수라이든대 지역학 대학원가 참여하였고, 아담 보넷 교수웨스턴 온타리오대 킹스 칼리지가 토론을 맡았다. 재단이 주관한 AAS의 특별 세션을 통해 탈중국 중심의 동아시아사 연구에 대한 국제 학계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동북아 국제관계사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재단은 앞으로도 재단의 동북아 관계사에 관한 연구 성과를 해외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공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탈중국 중심의 동아시아 관계사 연구를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일 역사 문제 바로 알기시민 강좌 수료식

 

“한·중·일 역사 문제 바로 알기” 시민 강좌 수료식

 

재단은 419() 재단 대회의실에서 시민 역사교양 강좌 수료식을 열고 서울시립대 평생교육원을 통해 재단이 제공한 역사 교양 강좌를 수강한 1기 수료생에게 재단 독도교육연수원장 및 시립대학교 평생교육원장 공동명의의 수료증과 기념품을 증정했다. 재단은 서울시립대 평생교육원과 연계하여 315일부터 6주간 시민을 대상으로 ··일 역사 문제 바로 알기라는 주제 아래 동북공정, 일본군 위안부’, 독도 등 역사 및 영토 현안 중심의 강좌를 매주 목요일마다 진행하였다. 다양한 연령층의 수강생들은 열띤 질의를 통해 우리의 올바른 역사 강좌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다. 재단과 서울시립대는 하반기에 2기 수강생을 모집하고 강의를 계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한·중·일 역사 문제 바로 알기” 시민 강좌 수료식김종학 재단 연구위원 제43회 월봉저작상 수상

 

재단 한일관계연구소 김종학 연구위원은 413()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월봉 한기악선생 기념사업회회장 이문원가 수여하는 제43회 월봉저작상을 수상했다. 월봉저작상은 일제강점기 언론인과 교육자로서 민족운동에 헌신한 월봉 한기악1898~1941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한국의 학문 발전과 문화 창달에 이바지한 학자에게 수여된다. 수상 저서는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일조각 펴냄로 개화당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비밀 결사의 결성 배경과 목적을 논하고 1884년에 일어난 갑신정변의 경위를 새롭게 조명한 내용이다.

 

 

 

 

 

 

 

독도 교육주간 기념 독도체험관 특별 프로그램 운영

 

독도 교육주간 기념 독도체험관 특별 프로그램 운영

 

재단은 제3회 독도 교육주간을 기념하여 43()부터 415()까지 독도체험관에서 우리 땅 독도에 대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독도체험관 앞 썬큰가든에는 주니어 도슨트 1기가 제작한 독도 홍보 피켓을 전시하였고, 체험관을 찾은 관람객을 대상으로 독도 등고선 모형 만들기’, ‘독도 팝업북 만들기’, ‘독도 돌발 퀴즈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특히 410()에는 김상곤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독도체험관을 찾아 오늘은 내가 관장프로그램을 직접 진행하며 참가 초등생들과 직접 만나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다. 재단은 앞으로도 수준 높은 독도 교육과 체험 활동을 제공하여 올바른 역사·영토 의식 확립에 앞장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