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역사Q&A
발해국이 한국사인 이유
  • 김은국 역사연구실 연구위원

Question

현재 중국학계에서 발해는 한국사가 아니라고 주장하여 한·중학계 사이에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발해국이 한국사인 이유는 무엇인가?

Answer

고구려의 계승과 남북국의 전개

발해가 한국사인 이유는 우선 발해의 건국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발해 건국은 고구려 멸망 후 유민부흥과 그 맥을 같이 한다. 특히 요동(遼東) 지역은 7세기 이후 당나라의 패권정치에 대한 주변 민족 저항의 구심점이었다. 발해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은 영주(營州 : 현재 중국의 조양시) 지역을 중심으로 고구려유민을 결집하여 동모산(東牟山 : 현재 중국의 돈화)으로 이동하여 진(震/振)의 건국을 선포하고 스스로 진국왕에 올랐다. 이것이 바로 발해가 어느 나라에도 종속되지 않았던 독립국가임을 천명한 것이다. 그러한 점은 발해가 사용한 독자적인 연호와 시호, 하늘의 자손임과 발해왕이 황제임을 강조하였던 것에서도 찾을 수 있다. 고왕은 외교적으로도 주변국과의 교류를 통하여 국가의 기틀을 다져 나갔다. 신라에게서는 발해 건국에 걸맞는 신라 관직을 받았으며, 《삼국사기》를 통해 보면, 신라 원성왕(元聖王)과 헌덕왕(憲德王) 때 북국(北國)인 발해에 사신을 파견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우리는 발해와 신라를 한국사 속에 남북국사로 설정하고 있는데, 위 기록은 바로 그 원천근거이다. 《고려사》에는 926년 발해 멸망을 전후하여 근 2백 여 년 간의 발해유민의 고려망명 기록이 실려 있다. 발해와 고려의 친연성이 없다면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이후 남북국사 인식은 조선시대 실학자인 유득공(柳得恭)에 의해 이론적 틀을 갖추고 한국사의 당당한 주체로서 자리매김하였고 발해가 신라와 함께 한국사의 주체임을 명확히 하게 되었다.

유물과 유적 통한 실체적 접근을

현재 발해의 역사영역은 중국 동북지방, 러시아 연해주, 그리고 북한에 걸쳐 있는 관계로 발해사 연구는 동아시아 국제학 성격을 띠기에 이르렀다. 그렇기 때문에 제한된 문헌한계를 보충할 수 있는 발해유적조사와 해석은 발해사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그간 발굴된 유적과 유물의 성격을 통해 묘제, 주거, 생활도구, 무기류 등 여러 분야에서 고구려 문화를 이어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에서 발굴된 온돌 유구는 이 지역에서는 최대 규모의 고구려식 난방시설이었다. 이후 순차적 발굴을 통해 발해인의 거주가 연속성을 지니며 이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이해가 가능했던 것도 현재 한국이 공동발굴 형식을 띠고 진행하고 있는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조사를 통해서였다. 상대적으로 발해유적이 다양하게 남아있는 중국 지역은 아직까지 한국과의 공동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 바야흐로 발해유적과 유물에 대한 동아시아적 공동 조사와 해석을 통해 각국의 연구자들이 발해의 고구려 계승성과 남북국사 인식 확대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