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은 지난 2006년 9월에 출범하였다. 그 전신인 '바른역사정립기획단'과 '고구려연구재단'이 동북아역사재단으로 통합되어 출범한지 현재 약 5년이 지났다. 필자는 '바른역사정립기획단'과 약간의 교류가 있었으므로 동북아역사재단이 만들어지기까지의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다.
재단이 출범된 계기는 2001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2001년 3월 일본문부과학성은 일본역사를 미화하여 애국심을 고취시킬 목적으로 한·일관계사를 왜곡시킨 우경화된 역사교과서인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약칭 새역모) 교과서(후소샤)'를 검정에 통과시켰다. 이에 한국정부는 33개 항목으로 된 항의서를 일본정부에 전달하면서 시정을 요구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한국측 요구는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한국정부는 1998년 10월 한·일 간에 체결된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파기하겠다고 하면서 일본정부에 항의를 계속했다.
그러나 당시 일본의 고이즈미 총리는 "일본 총리는 검정을 통과한 교과서의 수정에 개입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는 제도상의 이유를 들어 한·일 역사교과서 논쟁에서 발을 빼려고 했다. 더구나 고이즈미 총리는 같은 해 8월 13일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전격적으로 참배해 한국과 중국의 분노를 샀다. 한국정부 내에서는 이런 일본측 우경화 움직임에 대해 대책반이 가동되었다. 일본 내에서는 양심적인 일본국민들이 "침략전쟁을 미화하는 '새역모교과서'의 채택을 단호히 저지하자!"라는 슬로건 아래 '새역모교과서' 채택 반대운동을 전국적으로 확대했고 8월말에 마감된 채택결과는 '새역모교과서'가 0.039%라는 저조한 채택률로 참패했다.
일본의 독도 도발, 재단 출범의 시대적 배경
한·일관계의 악화를 우려한 미국측 요청으로 같은 해 9월 한·일 정상들이 만나 한·일관계를 회복하는 데 동의했다. 양국에서 다시 한·일관계를 우호무드로 전환시키는 노력이 시작되었고 한국매스컴들은 애써 우호적인 일본의 표정을 보도·방송하기 시작했다. 이런 화해의 분위기 속에서 한국정부의 대일대책반은 해산되었다. 필자는 이러한 한국정부의 대응을 보면서 한·일관계에는 아직 청산되지 못한 문제들이 남아 있어 앞으로 언제든지 대형 사태가 터질 우려가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므로 일시적으로 생겼다가 사라지는 대일대책반이 아니라 한·일관계에 대해 지속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반영구적인 연구단체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2002년에는 '한·일 공동 월드컵'의 개최로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대외적으로 상당히 좋아졌다. 사람들은 월드컵 같은 한·일 공동 이벤트가 많아지면 한·일 양국의 관계도 자연스럽게 좋아질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이어서 2003년 말경부터 시작된 배용준 등을 중심으로 한 일본 내의 폭발적인 한류 붐은 한·일관계 개선에 큰 역할을 하였다. 필자도 일본에 한류가 더 확산되면 한·일 간의 난제들이 문화를 통해 많이 풀릴 것으로 기대했다.
그런데 2005년 3월 일본 시마네현 의회가 소위 '죽도(竹島)의 날'을 제정하면서 한·일관계는 다시 급랭되었다. 당시 필자는 독도가 기재되지 않은 일본 고지도들을 우연히 다수 발견했고 그것을 계기로 갑자기 매스컴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아무튼 2005년, 시마네현의 사려 깊지 못한 행동은 이후의 한·일관계를 대결관계로 규정해 버렸다. 경상북도는 시마네현과의 자매결연을 파기했고 그 상태는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파동 다음에는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갈등까지 생겼는데 그 후에는 월드컵 같은 행사조차 없어 쉽게 수습하기 어려운 악화된 한·일관계가 지속되고 있다.
필자는 2005년 4월에 발간한 《일본 고지도에도 독도 없다》에서 '한·일관계를 위한 반영구적인 연구기관이 필요하고 그 기관의 지도자는 열의와 신념을 갖고 일본의 각종 왜곡을 끝까지 시정하려는 의지를 보여 줘야 한다'는 취지의 글을 썼다. 다행히 많은 사람들이 필자와 비슷한 생각을 가졌고, 한·중·일 역사관계를 바로잡을 목적으로 동북아역사재단이 출범하였다. 이처럼 동북아역사재단의 직접적인 탄생 계기는 2001년에 시작된 일본의 역사왜곡 본격화에 있다. 한·일 간, 한·중 간의 역사적 갈등을 종합적 연구와 분석을 통해 해결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 및 번영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재단의 최종적 목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출범한지 얼마 안된 동북아역사재단이 큰 충격을 받은 사건이 일어났다. 바로 2008년 7월에 일어난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신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는 일본영토라는 내용을 심화시켜서 가르쳐야 한다'는 지시사항이 기재된 사건과 같은 해 7월에 세계적인 권위가 있는 미국 지명위원회(BGN)가 독도의 주권국가를 종래의 '한국'에서 '미지정'으로 바꿔 버린 사건이었다. 미국 지명위원회(BGN)는 당시 부시 전 미국대통령의 방한을 앞둔 상황이었기 때문에 독도기재를 원상회복시켰다. 하지만 이에 충격을 받은 한국정부는 동북아역사재단 내에 '독도연구소'를 신설해 독도문제에 대한 본격적인 대책을 시작했다.
일본의 독도 교육 극복 방안 수립 서둘러야
이런 배경을 살펴보면 현재 한국이 직면한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사태, 즉 중학생용 모든 지리·공민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영토'라고 기재한 사태는 동북아역사재단이 대응해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우선 일본 외무성 사이트 '죽도(竹島)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동북아역사재단의 독도 공식 사이트를 대폭 개선해야 할 것이고, 1년 후부터 시작될 일본 내에서의 독도교육에 대비한 극복방안을 하루속히 세우고 실천에 옮겨야 한다.
최근 동북아역사재단은 독도부교재 《독도 바로알기》를 만들어 전국 초등학교에 배포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 중학생들이 갖게 될 독도에 관한 지식 이상의 내용을 학생들에게 가르쳐 우리 학생들이 일본 교과서에 실린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에 반박할 수 있는 논리와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국내용 논리만 내세우면 그만이었던 시대가 끝났다. 이제는 세계에 통용되는 논리와 근거 자료를 통해 독도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며, 그렇지 못한다면 독도문제는 앞으로도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