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마키무라 코우槇村浩의 ‘간도 빨치산의 노래’
재단 새 책 마키무라 코우槇村浩의 ‘간도 빨치산의 노래’ 윤동주1917~1945의 ‘서시序詩’는 아마도 한국인이 가장 많이 애송하는 시일 것이다. 윤동주 시인의 고결한 삶과 민족혼이 깃든 주옥같은 시는 각박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상당한 카타르시스와 영혼의 안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그런데 ‘민족시인’ 윤동주가 살고 있던 시기에 그와 비슷한 삶을 살다가 같은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옥고를 치르고, 젊은 나이에 요절한 일본의 반전反戰 시인이 있다고 하면 여러분은 깜짝 놀랄지도 모른다. 그는 바로 마키무라 코우槇村浩, 1912.6~1938.9다. 일각에서는 ‘마키무라 히로시’로 부르기도 하는데, 본명은 요시다 토요미치吉田豊道이다. 어려서부터 신동으로 이름났다. 올해 6월 1일은 그가 일본 서남부의 고치시高知市에서 태어난 지 꼭 106년이 되는 날이다. 그는 옥고의 후유증으로 1938년 9월, 26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올해는 그의 서거 80주년이다. 마치 윤동주의 시 원고를 친구인 정병욱이 전남 광양에 있던 자신의 집에 묻어두었다가 일제 패망 이후 다시 찾았듯이, 마키무라의 원고 역시 일본 군국주의가 발호하고 있던 1930년대에는 일본에서 출판되지 못했다. 출판사 주인이 기름종이에 싸서 땅에 묻어두었다가 그가 죽은 지 25년만인 1963년에야 세상에 내놓았던 것이다. 그리고 1년 뒤인 1964년 10월 『간도 빨치산의 노래 - 槇村浩 시집』신일본출판사, 1964이 최초로 간행되었다. 그가 남긴 시는 모두 26편으로 알려졌지만, 그의 생전에 발표된 것은 대표작 ‘간도 빨치산의 노래’ 등 6편에 지나지 않았다. 그의 첫 작품은 「살아있는 총가銃架」이다.
장세윤 (재단 한일관계연구소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