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통신사 이야기
조선시대의 일본통 신숙주와 「해동제국기」
조선 국왕의 명의로 일본의 최고 통치자에게 파견된 공식적인 외교 사절로 알려진 ‘조선통신사’. 통신사는 어떤 역사적 배경 속에서 탄생했고, 양국 관계의 변화 속에서 통신사가 수행한 역할은 무엇이었을까.
1429년 첫 번째 통신사로부터 590주년이 되는 2019년을 앞두고, <조선통신사 이야기> 코너를 통해 조선왕조 대일 외교의 역사이자 문화 사절이었던 조선통신사를 들여다 본다.
‘일본통’ 외교의 승부사가 남긴 발자취
조선 초기의 정치가 신숙주(申叔舟,1417~1475)라 하면 ‘숙주나물’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는 사육신과 함께 세종의 유언을 받들어 단종을 보필하기로 약속했으나 후에 세조로 즉위한 수양대군 편에 가담했으며 단종 복위 운동 실패 후 단종과 금성대군의 처형을 강력히 주장하여 관철시켰다. 빨리 상하는 숙주나물의 특성이 신숙주가 변절한 모습과 유사하다는 이유에서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는 유래가 있다 보니, 역사 인물 신숙주에게는 ‘배신과 변절의 아이콘’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따라다닌다.
신숙주는 1439년(세종21)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의 학사로서 성삼문, 박팽년, 정인지 등과 함께 훈민정음의 창제와 연구에 기여했다. 1461년부터 1464년, 1471년부터 1475년까지 의정부 영의정을 역임했으며, 세종부터,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까지 무려 6명의 임금을 섬겼다. 이 정도 경력만으로도 그가 정치적으로 탁월한 처세가였음을 엿볼 수 있다.
그런데 조선 초기 정치 무대에서 보여준 화려한 행보 이면에, 외교가로서 조선의 대외 관계에 남긴 족적과 영향이 지대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1443년에는 조선 통신사 변효문(卞孝文)의 서장관 겸 종사관으로 선발되어 일본 교토에 다녀왔고, 1452년에는 사은사(謝恩使) 수양대군의 서장관으로 명조의 수도 북경에 다녀왔으며, 1460년에는 강원·함길도 도체찰사로서 모련위 야인(毛憐衛野人·만주 여진족)을 토벌했다. 그는 경사(經史)에 능통하고 시문에도 뛰어나 오랫동안 예조판서를 역임하며 외교와 문교(文敎)를 관장했다. 조선의 대일본 통교 규정은 세종 때 만들어져 세조 때 완비되었는데 세조의 두터운 신임을 받은 신숙주는 그것을 한층 보충하고 정비했다. 1443년 통신사 일행으로 일본에 갔을 때는 가는 곳마다 산천의 경계와 요해지(要害地)를 살펴 지도를 작성하고 그들의 제도·풍속, 각지 영주의 강약 등을 기록했다고 한다. 돌아오는 길에는 대마도에 들러서 대마도 도주와 세견선(歲遣船)을 50척, 세사미두(歲賜米豆)를 200섬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계해약조’를 체결하기도 했다.
윤유숙 (재단 한일관계연구소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