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토해양연구』 제23호 투고논문 모집
동북아역사재단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인 『영토해양연구』 제23호 투고논문을 4월 15일까지 모집한다.
『영토해양연구』는 독도 영토 주권 수호와 동해 표기 확산을 목적으로 발간하는 국내 유일의 영토·해양 전문 학술지다. 『영토해양연구』는 지난 2011년에 창간해 연 2회(6월 30일, 12월 31월) 간행해왔으며, 창간 10주년을 맞이하는 2021년에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승인되었다.
논문 모집 분야는 연구논문과 서평 및 사료해제가 있으며, 독도 및 동해 표기를 비롯한 영토·해양과 관련한 여러 문제에 관한 역사, 지리, 국제법, 국제정치학 등 다양한 학술분야 연구를 대상으로 한다. 투고 받은 논문은 심사위원회의 엄정한 심사를 통해 게재 여부를 결정하며, 게재된 논문에는 원고료(100만원)가 지급된다. 논문 투고 방법은 동북아역사재단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인 (JAMS, http://nahf.jams.or.kr)에 접속해 회원가입 후 논문을 신규 제출하면 된다. 논문투고 시 반드시 투고 요령에 따라 원고를 해야 하며, 투고 요령은 재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안내하고 있다.
재단은 『영토해양연구』가 영토, 해양 관련 역사학, 지리학, 국제법, 국제정치학 분야의 전문학술지로서 학술연구의 소통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북아역사논총』 제76호 투고논문 모집
동북아역사재단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인 『동북아역사논총』 제76호의 투고논문을 모집한다.
투고 대상은 한국사·중국사·일본사 및 한·중·일 관계사 관련 연구논문, 비평논문, 자료소개 등이며 투고마감일은 2022년 4월 15일까지이며, 『동북아역사논총』 제76호는 2022년 6월 30일 발간한다.
원고 작성 규정은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를 기준으로 하며 논문 투고 시 반드시 투고 요령에 의거해 원고를 작성해야 한다. 특히 사사표기 혹은 각주 등에 투고자의 신분이 드러나는 용어는 반드시 삭제하여 접수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4월 1일 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고한 논문은 편집위원회 및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서 게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게재된 논문(연구비 지원받은 논문 및 지원받지 않은 일반논문 일체)에는 원고료를 지급하지 않는다. 제출방법은 한국연구재단 온라인 논문투고 및 심사시스템(JAMS, https://nahf.jams.or.kr)에 접속해 회원가입 후 투고할 수 있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모두 독도체험관 구축, 올해 3곳 신설
전국 17개 시도에 모두 독도체험관이 만들어진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독도교육 활성화 계획’을 21일 발표했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독도체험관이 없던 강원교육청은 독도체험관을 신축해 개관했으며 부산·전북교육청 역시 올해 구축 예정이다.
기존 인천·대전·경기·충북·전남·경남교육청 독도체험관은 노후 시설과 콘텐츠를 개선해 재개관하고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체험관은 확장·이전한다.
순 | 지역 | 운영 기관 |
---|---|---|
1 |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2022년 확장ㆍ이전 재개관) |
2 | 부산 | 부산광역시교육청(2022년 구축 예정) |
3 | 대구 | 대구창의융합교육원 |
4 | 인천 | 인천학생교육문화회관(2022년 재개관) |
5 | 광주 |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
6 | 대전 | 한밭교육박물관(2022년 재개관) |
7 | 울산 | 울산학생교육문화회관 |
8 | 세종 | 새롬고등학교 |
9 | 경기 | 경기평생교육학습관(2022년 재개관) |
10 | 강원 | 원주교육문화관 |
11 | 충북 | 충북교육도서관진천문학관(2022년 재개관) |
12 | 충남 | 충무교육원 |
13 | 전북 | 전라북도교육청(2022년 구축 예정) |
14 | 전남 | 여수교육지원청(2022년 재개관) |
15 | 경북 | 경북교육청연구원 |
16 | 경남 | 경남교육청과학교육원(2022년 재개관) |
17 | 제주 | 제주교육박물관 |
학교에서는 연중 한 주를 독도교육주간으로 지정해 운영한다. 교육부는 학교급·장애 유형별 체험 중심 독도교육주간 자료를 보급하고 디지털 기반 콘텐츠도 개발할 예정이다.
학생들이 독도 체험 행사를 직접 개발하는 독도지킴이 학교 등도 운영한다. 이 밖에도 교육부는 외교부, 해양수산부, 시민단체, 독도 관련 공공·민간 기관 등과 독도 홍보 콘텐츠를 제작·배포할 예정이다.
동북아역사재단이 창작한 '재단 뉴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