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STORY
역사에 기록된 한국 땅, 울릉도‧독도
10월 25일은 ‘독도의 날’이다. 1900년 ‘그날’, 칙령으로 울릉도와 그 부속 도서를 울도군(鬱島郡)이라는 행정구역으로 편제한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다. 울도군의 설치는 그 이전까지 조선 왕조가 제한적으로만 울릉도와 독도를 지배해 왔음을 뜻하기도 한다. 하지만 『세종실록』 지리지가 상징적으로 보여주듯이, 직접 지배와 무관하게 조선은 울릉도‧독도를 강토의 일부로 이해했다. 이처럼 현실과 관념의 차이가 존재했던 독도는 우리의 역사에 어떤 모습으로 기록되어 있을까. 신라의 우산국 병합, 이사부의 업적 『삼국사기』에는 하슬라주(何瑟羅州)의 군주(軍主) 이사부(異斯夫)가 기지를 발휘하여 우산국을 복속시킨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 사건은 신라본기와 열전에는 등장하지만, 잡지의 지리 부분에는 보이지 않는다. 또 신라의 동쪽 경계는 ‘큰 바다(大海)’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삼국사기』가 편찬된 12세기의 인식이었다. 울릉도와 독도는 『고려사』 지리지의 울진현조에 출현한다. 울진현조의 일부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울릉도 기록이 분량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