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재단뉴스
재단 뉴스

2017AAS 컨퍼런스 - 재단 주최 Korean Night 개최


2017년 AAS 컨퍼런스 - 재단 주최 Korean Night 개최 


재단은 316~19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AAS(Association for Asian Atudies) 컨퍼런스에 참가하였다. 재단에서는 패널(Korean Perception of China: The Transitional Nature of Ideology in Late Joseon)을 후원하였고 318일에는 재단 주최로 Korean Night을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에는 돈 베이커(Don Baker), 마크 카프리오(Mark Caprio), 앙드레 슈미드(Andre Schmid), 아담 보넷(Adam Bohnet), 유진 박(Eugene Park) 등 한국학 및 동아시아 관련 저명 인사들이 참석하였다.

김호섭 재단 이사장은 ‘Global Academic Cooperation’을 주제로 재단의 국제화 방향을 표명하였고, 유의상 국제표기명칭대사가 해외 학술협력의 역사와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는데 재단의 국제화 방향과 관련해 참석자로부터 공감을 이끌어냈다. 이번 행사는 재단이 향후 국제학계와 확대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 큰 디딤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17년도 검정 통과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전문가 토론회 개최


2017년도 검정 통과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전문가 토론회 개최 


재단은 지난 324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2017년 검정 교과서 결과와 관련하여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번 검정 통과 교과서의 특징과 변화, 문제점 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곽진오 연구위원의 사회로 진행된 전문가 토론회 1부에서는 서종진 역사현안연구실장이 ‘2017년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 검정의 의미’, 홍성근 독도연구소장이 ‘2017년 검정 통과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의 독도 기술 현황과 특징’, 남상구 근현대연구실장이 ‘2017년 검정 통과 일본 사회과 교과서 일본군위안부기술 검토에 대해 발표하였고, 2부에서는 김영수 독도동해연구실장과 계명대 이성환 교수, 고려대 송완범 교수 등이 토론에 나섰다.

이번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일본의 우리 영토주권 침해 기술이 확대·강화되는 상황에서 기초 연구 및 자료 축적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역사 대화와 교류를 추진하여 한·일 간 인식 차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독도 바로 알기개정판 발간 및 전국 초고등학교 배포


《독도 바로 알기》 개정판 발간 및 전국 초・중・고등학교 배포


재단 독도연구소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에 대응하여 독도 및 역사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2017년도 독도 바로 알기를 발간하고 전국 초 . . 고등학교에 배포하였다.

이번 교재는 학교 급별 교육 과정 내용을 반영하고 학교 활동 중심의 탐구활동 자료를 강화하였다. 주요 개편 내용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교재는 독도의 자연적 환경 및 지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독도의 중요성을 알리고 안용복 등 독도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위인들의 이야기를 추가로 구성하였다. 중학교 교재는 자유학기제 활용에 용이한 독도 체험 활동 관련 내용을 추가하였고 고등학교 교재는 독도가 우리 땅인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 근거를 교수 학습 자료로 구성하여 학생 활동 실천 중심의 문제해결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2017년도 독도 바로 알기를 정규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 계기 교육 등 연간 10시간 내외의 단위학교 독도 교육에 적극 활용하여 일본의 부당한 주장에 논리적으로 대응할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독도체험관 VR 체험 프로그램 도입

재단 독도체험관은 4월부터 VR(Virtual Reality)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체험관 관람객들에게 독도를 실제로 방문한 것 같은 가상현실 체험 서비스를 제공한다.

VR 체험 프로그램은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섬, 독도를 주제로 한 630초 분량의 독도 영상을 VR 기기를 통해 관람하는 방식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들은 우리 땅 독도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다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독도체험관은 VR 체험 프로그램 도입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다채로운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보다 다양한 계층의 관람객을 유치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