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재단뉴스
재단뉴스

·중 문화충돌 대응 학술회의 개최 

- 한국 음식문화의 미학, 그 여정에 대한 역사적 이해 -

 

재단은 지난 729() ‘한국 음식문화의 미학, 그 여정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주제로 비공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김치, 쌈 문화, 삼계탕 등 한국의 음식문화가 중국에서 기원하였다는 주장이 중국 온라인을 통해 확산되면서 중국의 소위 한국문화 기원 주장은 한·중 시민들 사이 가장 커다란 갈등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이 학술회의는 한국 음식문화의 양상과 특징을 논의하는 가운데 문화 갈등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번 학술회의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문화의 특징을 다뤘다. 박채린(세계김치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중국의 파오차이(泡菜)는 전 세계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단순채소절임으로, 동물성젓갈과 전용복합양념이 들어간 김치와 전혀 다르다는 점에 대해 발표하였고, 정희정(한국미술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삼계탕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문화를 규명하였다.

이번 학술회의는 타문화와의 교류와 융합을 통해 한국음식의 로컬성과 문화적 정체성 등이 정립되어 가는 과정을 확인하고 나아가 중국의 문화기원주장으로 비화된 한·중 시민사회 갈등 해소의 단서를 마련하는 자리였다.

 

삼계탕 사진

 

2022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 학술회의 개최

- 한국인 일본군위안부피해부정의 역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재단은 2022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을 맞아 85() 일본군위안부문제 현안을 점검하는 학술회의를 비공개로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일본군위안부피해를 부정하기 위한 부정론자들의 가짜 역사생산과 그 초국적 유통·수용 구조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했다. 또한 한편으로 단순히 역사부정론의 내용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는 데 그치지 않고, 부정론자의 가짜 역사가 어떻게 일부 학계에서 계속하여 수용되고 유통되는지 그 원인을 논의했다. 또한 부정론자들의 일본군위안부역사쓰기와 학문적 진실성 원칙에 대하여 분석하고 토론함으로써 보편적인 여성인권과 평화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을 모색하였다.

이번 학술회의는 일본군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생산적인 토론이었으며, 아울러 학문적 진실성 원칙에 부합하는 일본군위안부연구를 진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재단 온라인 서포터즈 4

 

재단은 동북아 역사 및 영토 현안을 바로 알리는 데 함께할 온라인 서포터즈 4기를 모집했다. 이번 서포터즈는 총 8명을 선발하고,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간 활동하게 된다. 주요 활동으로는 재단의 주요 행사 및 사업, 도서, 관련 영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하며, 재단 홍보 콘텐츠를 개인 SNS에 공유하는 활동 및 홍보 사업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으로 재단 유튜브 채널에 게시된 영상의 자동 번역 오류를 정정하게 된다.

재단이 주최하는 각종 행사에 참여하고 재단 홍보팀 일일 체험, 신간 도서 리뷰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온라인상에서 재단의 사업 및 역사 현안을 소개해줄 서포터즈 4기의 활약을 기대해본다.



 

2022년 독도 교원 연수자 울릉도·독도 탐방

 

재단은 독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교원의 독도 영토주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이를 통한 학교 현장에서의 독도 교육의 질적·양적 확대 및 확산을 목적으로 8.18()~20() 교원 대상 독도 탐방을 추진했다. 독도 탐방은 독도 입도를 중심으로, 독도와 관련 있는 울릉도 내 유적·시설 견학으로 진행하였다. 이번 독도 탐방은 연수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는 동시에 참여 교원 각자의 독도 체험을 엮어 학생들에게 전달할 생생한 독도 이야기를 구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2022년 독도 교원 연수 울릉도 독도 탐방 연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