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소식
[재단 이모저모] 동북아역사재단뉴스 2015년 1월호
역사현안 협력 체제 구축을 위한 방미 활동 펼쳐석동연 사무총장 등 재단 임직원 4명이 11월 2일부터 9일까지 미국 워싱턴 DC, 뉴욕, LA, 글렌데일 시 등을 차례로 방문하여 주미대사, 주유엔대사, 주뉴욕총영사 등 재외공관장들과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한인 단체와 현지 시민단체 전문가 등을 만나 역사 현안 관련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미국에서 일본군‘위안부’ 결의안 채택에 큰 역할을 했고, 지금도 이 쟁점에 관해 일본이 전향적 자세를 취할 것을 요구하는 미국 내 여론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 한미연구소 레리 닉쉬(Larry Niksch) 박사와 아시아정책연구소 민디 커틀러(Mindy Kotler) 소장을 만나 의견을 교환하였다.또 컬럼비아대학의 암스트롱 Charles K. Armstrong), 엘라자 발칸(Elazar Barkan) 교수를 만나 미국에서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관한 학술회의 개최 등에 대해 협의하였다. 또한 미국 버지니아주, 뉴욕주, 캘리포니아주에 설치된 일본군‘위안부’ 기림비와 평화소녀상을 둘러보고 관련 내용을 청취하였다.석동연 사무총장, 동아시아 평화포럼 참석11월 21일부터 24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린 제13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에 석동연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동아시아 평화포럼은 한일 시민단체와 중국사회과학원 근현대사연구소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행사다. 이번 행사는 동아시아평화와 평화공동체를 향한 비전과 국민감정 극복을 위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아베 정권의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역사교과서 문제, 야스쿠니신사 문제 등에 관한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석동연 사무총장은 평화포럼 폐막식에서 한중일 간 교류 협력이 날로 확대되고 있음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세 나라 간 상호 이해를 돕는 다양한 활동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석동연 사무총장은 기간 동안 중국국무원 신문판공실 구웨이민(Guo Wei Min) 국장을 면담, 동북아 역사현안 및 중국 내 재단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