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해외 학계의 한국 고·중세사 연구 후속세대 양성 시급"
1966년에 처음 한국을 찾은 후 거의 반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한국과 오랜 인연을 맺고 있는 에드워드 슐츠 교수를 이정일 연구위원이 서강대학교에서 만났다. 한국 대학의 변화를 여느 한국 사람보다 잘 알고 있으며, 역사를 배우는 젊은이들이 고대사, 중세사를 외면하는 현실을 걱정하는 그와 함께 고려시대에 관한 이야기와 해외에서 한국사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재단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대화를 나누었다. _편집자 주에드워드 슐츠(Edward J Shultz) 하와이대학 명예교수영미권 한국학 연구자 1세대이자 한국중세사 분야에서 손꼽히는 권위자로 고려시대를 전공했다. 지난해 하와이대학에서 정년퇴직했고, 올해 다시 한국을 찾아 서강대학교 사학과에서 초빙교수로 제자들을 가르치고 있다. 현재 『고려사절요』 영역 등 연구를 지속하며 한국과의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30여 년 이상 영미권 한국사 학계에서 활동하다가 지난해 정년을 맞이한 후 한국에 다시 왔다. 감회가 새로울 것 같다. 1966년도에 평화봉사단의 일원으로 처음 부산에 왔다. 하와이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 논문을 쓰기 위해 다시 서강대학교에 왔고, 이기백 선생님 등 한국의 저명한 학자 분들을 사사했다. 학생으로 또 교수로 한국을 드나들며 한국 학자들과 교류하고 연구를 하면서 꾸준히 한국과 인연을 이어왔다. 정년퇴임을 할 때 주변에서 만류하기도 했지만 개인 연구를 할 수 있게 되어서 오히려 기분 좋게 퇴임할 수 있었다. 건강이 허락할 때 가고 싶은 곳도 가고, 하고 싶은 것도 하려고 한다. 교수들이 지나치게 오래 일하는 것도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학문발전을 위해 후배 학자에게 양보도 해야 한다. 사실 퇴임 후에도 개인적으로 해야할 일은 많다. 내년에는 다시 하와이로 가서 하와이대학 동서문화센터와 함께 작업을 해야 하고, 하와이대학 출판부의 고문도 맡아야 한다. 고려시대사는 한국 사학계에서도 상대적으로 전공자 층이 두텁지 못하다. 이 시기를 전공한 계기는? 고등학교 때부터 불어를 배웠는데, 대학에 들어와 완전히
진행 · 정리 ┃ 이정일 정책기획실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