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한국과 중국의 우호에 관한 불편한 진실
기고 한국과 중국의 우호에 관한 불편한 진실 지난 여름 중국 난징(南京)에서 상하이(上海)로 가는 고속철 안에서 앞에 앉아 있던 중국 분이 신문을 한 장 건네주었다. 〈동방조보(東方朝報)〉라는 타블로이드판 신문인데, ‘중국은 일찍이 당나라 때 조선을 도와 일본의 침략을 격퇴하였다’는 제목으로 푸단(復旦)대학 역사학과 한셩(韓昇) 교수의 인터뷰가 한 면 가득 실려 있었다. 그리고 박스에는 역시 푸단대학 연구원이 쓴 만력조선전쟁(임진왜란)에 관한 평론과 전쟁 관련 사진이 5장이나 실린, 한·중 역사에 관한 특집이었다. 대충대충 읽어보다가 자꾸 이게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들며 고개가 옆으로 돌아갔다.한셩 교수가 한 인터뷰에는 주목할 만한 내용이 들어 있다. 먼저 인터뷰 제목에서 ‘도움’은 백강전투를 말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백강전투를 일본의 침략에 맞서 신라를 도운 것이라고 한 점이다. 둘째, 신라가 조선반도를 통일한 후 당은 신라의 독립과 조선반도 통일을 “윤허”하였고 신라는 기미체제하의 독립국이라고 한 점이다. 당은 신라에 신라왕이 도독을 맡는 기미도독부로서 계림도독부를 설치하였고 기미체제 성립 후 온고하고 평화적인 관계를 건립했다는 것이다. 셋째, 한·중 관계는 신라 이래 청일전쟁이 일어날 때까지 평화우호관계를 유지했다고 서술한 점이다. 조선반도에 세워진 국가는 독립적이지만 중국의 역대 왕조가 보호한 ‘속국’이어서 중대한 외래 침략이 발생하였을 때 모두 한반도 국가를 보호했으며, 이러한 온정적 관계는 현재까지 1400여 년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당 이래로 중국의 역대 왕조가 동아시아 국제관계 체계를 영도하였는데, 이러한 체계는 영도하는 국가에 확실히 이익이 있었다고 한 점이다. 만약 주변이 편안하지 않으면 백만 군대가 방위해야 할 뿐 아니라 군인이 발호하고 국내 정치가 불온해지는 내정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섯째, 중국과 일본의 한반도 정책은 상반되었다는 주장이다. 당은 조공을 바치는 신라를 승인하고 경제·문화상으로 원조하였으나, 일본의 조선 정책은 시종 약탈성 전쟁이었다는 것이다. 일본이
안병우 한신대학교 교수
근대 한·중 관계와 동북아 갈등 극복을 위한 역사 연구
인터뷰 근대 한·중 관계와 동북아 갈등 극복을 위한 역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은 동아시아 역사·영토 관련 국내외 학자 간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영향력 있는 해외학자를 재단에 초청하여 일정기간 연구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방민호 교수는 지난 9월부터 근대 한중관계사를 주제로 재단에서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재단 김정현 연구위원이 방민호 교수를 만나 청나라 말기 대조선 정책을 결정하는 핵심인물 중 한 사람인 이홍장(李鴻章)과 청일전쟁 등을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_편집자 주방민호(方民鎬) 교수중국 연변대학교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고 연변조선족자치주 사회과학자연합회 부주석을 역임하였다. 현재 연변대학교 역사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근대 대외관계사와 한중관계사이며 대표저서로는 《중조일관계사(中朝日關係關係)》(2000), 《이홍장 대조선 정책 연구(李鴻章對朝鮮政策硏究)》(2013) 등이 있다. 한중관계사가 핵심 연구 분야인데 근대 한중관계사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 이유나 계기는? 대학시절부터 중국근대사를 선호했고 관련 수업을 더 열심히 공부해 왔다. 대학에 교수로 부임해 처음 지도를 맡은 교과목도 중국근대사였다. 중국 개방과 함께 근대 대외 관계사를 중시하는 학계 흐름에서 일정한 영향을 받기도 했다. 더욱이 1980년대부터 동북아 국제관계사 연구방향이 전문적인 연구 분야로 급부상하면서 이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가능해졌고, 연변대학교는 중국사학계에서도 한국사 연구분야가 우세한 편이라서 근대 한중관계사 연구에 몰두할 수 있었다. 《이홍장 대조선 정책 연구》를 출간했는데 이홍장은 한국 근대사에서 위안스카이(袁世凱)와 함께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들어 본 청나라 역사인물이다. 중국 학계에서 이홍장에 대한 평가는? 이홍장은 청나라를 대표하여 중국 근대시기 많은 불평등조약을 체결하였다. 이런 이유로 1970년대까지 대체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1980년대부터 역사 연구에서 객관성·합리성이 강조되면서 긍정평가가 나오기 시작했다. 그러다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근대화를 지향하고 추진한 정치
진행 · 정리 ┃ 김정현 동북아·독도교육연수원 연구위원
제20회 동해 지명과 바다 이름에 관한 국제세미나'공정성'과 '인본주의' 관점에서 '동해표기'를 논하다
연구소 소식 제20회 동해 지명과 바다 이름에 관한 국제세미나'공정성'과 '인본주의' 관점에서 '동해표기'를 논하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사단법인 동해연구회와 공동으로 지난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경주에서 제20회 동해 지명과 바다 이름에 관한 국제세미나(The 20th International Seminar on Sea Names)를 개최했다.이 행사는 동해(East Sea) 명칭을 국제표준화하기 위한 관련 논의를 확산하고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1994년 처음 열렸고, 재단은 2007년부터 공동 개최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전 세계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열고 있는데, 올해는 20주년을 맞이하여 특별히 동해바다를 끼고 있는 경주를 개최지로 선정하여 미국·영국·오스트리아·헝가리·벨기에·러시아·알제리 등 10개국에서 온 지리학·지명학·역사학·국제정치학·국제법 분야의 전문가 30여 명을 초청하여 성대하고 의미 있는 행사로 치러졌다.이번 세미나에서는 ‘지명 표기, 사회 정의, 교육적 가치’, ‘문화유산으로서 지명’, ‘지명 표기의 역사적, 언어학적 접근’, ‘국제법, 국제관계, 국제기구와 지명 표기’, ‘표기 문제 인식과 해결방안’을 주제로 논문 16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졌다.문화·역사·사회·경제의 산물로서 지명과 사회정의미국 웨스턴미시간대학의 조셉 스톨트만(Joseph Stoltman) 교수는 ‘지리교육과 지명 표기 문제’에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증진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지리교육학 주제로 지명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사회정의(social justice)란 어떤 쟁점에 관해 어느 일방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이익을 공정하게 고려해야하는 원칙이자 사회가 지향해야 할 공동체의 가치라 할 수 있다. 지명은 장소와 지역의 문화·역사·사회·경제의 산물이므로 사회정의와 지리교육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동해/일본해 표기 문제는 사회정의 차원에서 지리교육에서 중요한 주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미국 버지니아주 교민인 최연홍 전 서울시립대 교수는 미국 버지니아 주 동해병기법이 중요한 교육 가치와 교육 목표를 실현한 모범 사례임을 강조하였다.
신승혜 독도연구소 행정원
베트남을 아는 열쇳말 호찌민
역사인물 베트남을 아는 열쇳말 호찌민 베트남 화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그런데 이 모든 화폐에 호찌민(胡志明)이 등장한다. 수염을 늘어뜨린 인자한 할아버지 얼굴이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제법 많은 세월이 흘렀는데, 호찌민은 여전히 베트남인들에게 위대한 인물로 남아 있다.그는 20대에 민족운동에 나섰으며, 1969년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날 때까지 독립투쟁과 정치의 일선에서 헌신하였다. 그는 현재 베트남을 이끄는 베트남 공산당 창당 주역이다. 프랑스의 지배를 물리치고 베트남 독립을 달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의 기초를 만든 인물이었다. 그를 빼고 현대 베트남을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니, 호찌민이란 이름은 오늘날 베트남을 아는 중요한 열쇳말 중 하나다.호찌민의 어렸을 적 이름은 응우옌신꿍(阮生恭)이다. 베트남 마지막 왕조의 수도였던 후에(Hue) 인근의 유학자 집안에서 1890년에 태어났다. 그때는 조국의 운명이 이미 기운 상태였다. 1907년에 그는 후에에 있는 프랑스 학교에 들어갔다. 프랑스를 알아야 프랑스와 대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급기야 21세 때인 1911년, 프랑스로 가는 배를 탔다.베트남 민족 해방을 열망하다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파리강화회의가 열리던 1919년, 그는 응우옌아이꾸옥(阮愛國)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베트남 독립 투쟁에 나섰다. 파리에서 안남 애국자 동맹을 이끌면서 파리강화회의 참가자들을 향해 베트남인들이 자립하도록 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안남 인민의 요구사항’을 제출하였다. 그가 사회주의, 공산주의로 기울어진 것도 이때였다. 그는 사회주의자들이 식민지 민중의 저항에 관심을 기울인다는 사실을 알았고 식민 본국의 공산주의자들과 식민지 민족운동이 결합할 때 베트남 독립의 길이 열릴 것이란 사실을 깨달았다.국제공산당(코민테른)이 식민지 민족 운동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을 때, 그는 주저없이 모스크바로 향했다. 1923년부터 18개월 동안 그곳에서 혁명가로서 자질을 길렀다. 그리고 1925년 베트남 국경에 가까운 중국의 광둥(廣東)으로 돌아
김육훈 독산고등학교 교사
'구조현실주의' 이론으로 동아시아 영토문제 고찰
재단 새 책 '구조현실주의' 이론으로 동아시아 영토문제 고찰 동아시아의 국제정치 상황이 심상치 않다. 2010년 9월 센카쿠열도[尖閣列島, 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주변 해역에서 일어난 중국어선 충돌 사건을 시작으로 2012년 9월 일본 정부가 센카쿠열도에 속한 세 개 섬을 ‘국유화’함으로써 중·일간의 외교갈등이 심각해졌다. 2013년 11월에는 중국이 동중국해 방공식별 구역을 일방적으로 설정하자 일본은 이후 중국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 집단적 자위권의 행사를 제한하고 있는 헌법의 족쇄를 풀려고 시도하였다. 중·일 간센카쿠열도 충돌을 계기로 동아시아에서 심각해지고 있는 영토분쟁을 두고 한 국내 언론은 미국 시사전문지 〈포린폴리시(Foreign Policy)〉 보도를 인용하여 민족주의의 발흥과 영토갈등이 심각해지면서 결국 세계대전을 촉발한 발칸 사례와 유사하다고 지적하기도 하였다.동북아역사재단은 이처럼 중국과 일본이 험악한 외교전쟁을 치르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향후 동아시아에 불어 닥칠 영토문제의 심각성과 이 문제가 우리의 독도주권 수호에 미칠 영향이 지대할 것임을 감지하고, “동아시아 영토분쟁의 과거·현재·미래”를 기획연구과제로 선정하였다. 《동아시아 영토문제와 독도》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동안 동 주제에 관해 연구한 결과물이다.이명찬 재단 연구위원을 책임연구자로 하고 재단과 외부 연구자 등 모두 7명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그동안 여러 차례 함께 모여 발표와 토론을 거듭하면서 연구의 방향을 조정하였다. 또 각자 수행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수정·보완해왔다. 한편으로 영토문제 관련 국제학술회의에 참가하거나 세계 유수 영토문제 전문가들을 인터뷰하면서 대국 간 세력 전이와 동북아 질서 변동에 대응하고 독도 주권 강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 끝에, 최종 결과물을 단행본으로 출간한 것이다.동아시아 영토문제가 독도 영유권 주권에 미치는 영향은?이 책은 기획연구에 참여한 공동 연구위원 7명이 각자 쓴 논문 7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논문은 각각 다음과 같은 쟁점과 현상을 고찰하여 분석
김인성 충남대학교 국가전략연구소 연구원
[재단 이모저모] 동북아역사재단뉴스 2014년 12월호
연구소 소식 [재단 이모저모] 동북아역사재단뉴스 2014년 12월호 응옌 낌 홍 호찌민 국립사범교육대 총장 일행 내방호찌민 국립사범교육대 응옌 낌 홍 총장을 단장으로 한 베트남 교육전문가 대표단 12명이 10월 7일 재단을 방문했다. 방문단은 재단 김학준 이사장 면담 후 연구위원들과 함께 재단의 주요 활동과 성과, 베트남과 재단의 학술교류현황과 확대방안을 주제로 한 간담회에 참석했다. 간담 후에는 독도체험관으로 이동해 독도의 역사와 의미를 담은 전시물을 둘러봤다. 이들은 외교부가 공공외교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하고 있는 세계 각국 현지 전문가와 여론지도층 초청 사업에 응하여 한국을 방문하였다. 호찌민 국립사범교육대는 조만간 한국어교육학과를 설립할 예정이다.일본 ‘한국 조선 문화재 반환문제 연락회의’ 부대표와 간담회10월 14일 약탈문화재 관련 전문가 간담회를 열었다. 일본 시민단체 ‘한국 조선 문화재 반환문제 연락회의’ 아리미츠 캔(有光健) 부대표와 이양수 간사를 초청하여 열린 이번 간담회에는 한일회담 과정에서 문화재 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졌는지 이양수 간사가 발표한 후 이를 주제삼아 토론하였다. 1965년 이후에도 식민지 지배시기 일본이 약탈해간 문화재가 왜 여전히 일본에 남아 있는지 그 원인과 현황을 살펴보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문화재는 역사를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해주는 귀중한 자산이다. 한일회담 과정에서 일본 측이 반환을 결정했던 문화재들이 아직 반환되지 않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문화재는 본래 그것이 있던 곳에 있을 때, 진정한 의미가 있고 가치를 더하며 빛난다. 발표자와 토론자들은 한·일, 북·일이라는 테두리에서 벗어나 유네스코에서 논의하고 있는 세계 문화재 반환 움직임을 배우고 세계사적인 관점에서 식민지 지배와 문화재 반환문제를 고찰해 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한편 ‘한국 조선 문화재 반환문제 연락회의’는 비록 작은 시민단체이지만 2011년 ‘조선왕실의궤’를 한국이 반환받는 데 매우 큰 역할을 한 바 있다. 또 일본에서 ‘한반도 유래 문화재의 종합적인 조사와 포괄적인 반환 촉진을 위한 입법조치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