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소식
제20회 동해 지명과 바다 이름에 관한 국제세미나'공정성'과 '인본주의' 관점에서 '동해표기'를 논하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사단법인 동해연구회와 공동으로 지난 10월 26일부터 29일까지, 경주에서 제20회 동해 지명과 바다 이름에 관한 국제세미나(The 20th International Seminar on Sea Names)를 개최했다.이 행사는 동해(East Sea) 명칭을 국제표준화하기 위한 관련 논의를 확산하고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1994년 처음 열렸고, 재단은 2007년부터 공동 개최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전 세계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열고 있는데, 올해는 20주년을 맞이하여 특별히 동해바다를 끼고 있는 경주를 개최지로 선정하여 미국·영국·오스트리아·헝가리·벨기에·러시아·알제리 등 10개국에서 온 지리학·지명학·역사학·국제정치학·국제법 분야의 전문가 30여 명을 초청하여 성대하고 의미 있는 행사로 치러졌다.이번 세미나에서는 ‘지명 표기, 사회 정의, 교육적 가치’, ‘문화유산으로서 지명’, ‘지명 표기의 역사적, 언어학적 접근’, ‘국제법, 국제관계, 국제기구와 지명 표기’, ‘표기 문제 인식과 해결방안’을 주제로 논문 16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졌다.문화·역사·사회·경제의 산물로서 지명과 사회정의미국 웨스턴미시간대학의 조셉 스톨트만(Joseph Stoltman) 교수는 ‘지리교육과 지명 표기 문제’에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증진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해 지리교육학 주제로 지명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사회정의(social justice)란 어떤 쟁점에 관해 어느 일방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이익을 공정하게 고려해야하는 원칙이자 사회가 지향해야 할 공동체의 가치라 할 수 있다. 지명은 장소와 지역의 문화·역사·사회·경제의 산물이므로 사회정의와 지리교육은 밀접한 연관성이 있으며, 동해/일본해 표기 문제는 사회정의 차원에서 지리교육에서 중요한 주제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미국 버지니아주 교민인 최연홍 전 서울시립대 교수는 미국 버지니아 주 동해병기법이 중요한 교육 가치와 교육 목표를 실현한 모범 사례임을 강조하였다.
신승혜 독도연구소 행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