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한·중·일 갈등,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2014년 올해는 청일전쟁(1894~1895) 120주년, 러일전쟁(1904~1905) 110주년,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100주년이 되는 해다. 거기에 10월은 115년 전 안중근 의사가 중국 하얼빈(哈爾濱)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10월 26일도 포함되어 있어 그 의미가 자못 크다. ‘10·26’이라고 하면 대부분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을 떠올리기 쉬우나, 조선인이 중국 땅에서 일본의 거물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동아시아의 중대 사건이 일어난 ‘10·26’을 기억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다. 안중근 의사가 주창한 ‘동양평화론’을 떠올리면서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10월이다.극우로 치닫는 일본과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관심 커진 중국주지하다시피 지금 동아시아는 한·중·일 3국 사이에 역사 문제와 영토 문제로 갈등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한국은 중국과 동북공정, 장성공정, 청사공정 등 역사인식의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고, 일본과는 일본군‘위안부’ 문제, 독도 문제, 교과서 왜곡 문제등으로 골이 깊어가고 있다. 이에 더해 중·일 사이에도 침략 문제, 역사인식의 문제, 영토 분쟁의 대립각이 높아만 가고 있다.한·중·일 3국이 서로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지고 예술 문화 교류가 크게 진전되고 있으나, 역사 왜곡과 영토 문제를 둘러싼 갈등으로 각국의 국민감정은 점점 나빠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식민지배와 침략으로 원인을 제공한 가해자 일본은 과거사에 대한 진솔한 반성의 기색은 없고 도리어 우경화를 가속화하고 있어, 동아시아의 평화는 커녕 과거의 불행이 되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비등하고 있다.그간 정부를 중심으로 댜오위다오(釣魚島, 일본명 센카쿠 열도) 등 주로 영토·안보 문제에서 일본과 대립각을 세워오던 중국이 최근에는 일본군‘위안부’ 강제 모집 등 일본의 군국주의 악행을 폭로하는 역사 문제를 조명하는 일이 두드러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처음으로 일본군‘위안
전순동 충북대학교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