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한·중·일 갈등,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기고 한·중·일 갈등,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2014년 올해는 청일전쟁(1894~1895) 120주년, 러일전쟁(1904~1905) 110주년, 제1차 세계대전(1914~1918) 100주년이 되는 해다. 거기에 10월은 115년 전 안중근 의사가 중국 하얼빈(哈爾濱) 역에서 조선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10월 26일도 포함되어 있어 그 의미가 자못 크다. ‘10·26’이라고 하면 대부분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을 떠올리기 쉬우나, 조선인이 중국 땅에서 일본의 거물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동아시아의 중대 사건이 일어난 ‘10·26’을 기억하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다. 안중근 의사가 주창한 ‘동양평화론’을 떠올리면서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10월이다.극우로 치닫는 일본과 일본군‘위안부’ 문제에 관심 커진 중국주지하다시피 지금 동아시아는 한·중·일 3국 사이에 역사 문제와 영토 문제로 갈등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한국은 중국과 동북공정, 장성공정, 청사공정 등 역사인식의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고, 일본과는 일본군‘위안부’ 문제, 독도 문제, 교과서 왜곡 문제등으로 골이 깊어가고 있다. 이에 더해 중·일 사이에도 침략 문제, 역사인식의 문제, 영토 분쟁의 대립각이 높아만 가고 있다.한·중·일 3국이 서로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해지고 예술 문화 교류가 크게 진전되고 있으나, 역사 왜곡과 영토 문제를 둘러싼 갈등으로 각국의 국민감정은 점점 나빠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식민지배와 침략으로 원인을 제공한 가해자 일본은 과거사에 대한 진솔한 반성의 기색은 없고 도리어 우경화를 가속화하고 있어, 동아시아의 평화는 커녕 과거의 불행이 되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염려가 비등하고 있다.그간 정부를 중심으로 댜오위다오(釣魚島, 일본명 센카쿠 열도) 등 주로 영토·안보 문제에서 일본과 대립각을 세워오던 중국이 최근에는 일본군‘위안부’ 강제 모집 등 일본의 군국주의 악행을 폭로하는 역사 문제를 조명하는 일이 두드러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처음으로 일본군‘위안
전순동 충북대학교 명예교수
외로운 섬 독도에서 찾은아름다운 빛과 색
인터뷰 외로운 섬 독도에서 찾은아름다운 빛과 색 김중만 사진작가는 2012년 8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동북아역사재단, 해양경찰청, 울릉군의 협조로 독도의 사계를 사진으로 기록했다. 그리고 올해 7월 29일부터 8월 11일까지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본관에서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 사진전을 열었다. 2주라는 짧은 기간이었지만 1만여 명에 육박하는 시민들이 다녀갔다. 홍성근 독도연구소 소장이 김중만 사진작가를 만나 독도 사진 촬영과 전시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눴다. _편집자 주김중만 사진작가강원도에서 태어났다. 프랑스 국립응용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수료했고 1975년 프랑스 니스 ‘쟝 피에르 소아르니’에서 개인전을 열면서 사진작가로 데뷔했다. 곧이어 1976년 ‘프랑스 오늘의 사진작가 80명’에 선정되었고, 1977년에는 프랑스 ARLES 국제사진페스티벌 ‘젊은 작가상’을 수상했다. 한국에서는 제1회 한국패션 100년 어워즈 포토 부문상(2011), 제5회 마크 오브 리스펙트상(2010)을 수상하였다. 한국을 대표하는 사진작가로서 최근에는 한국의 아름다움을 담은 작품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지난 8월 11일 서울에서 독도 사진전이 끝났다. 소감은? 우여곡절도 있었지만 좋은 시기에 아주 좋은 공간에서 전시회를 할 수 있어서 만족한다. 물론 시간적으로는 조금 부족함도 있었지만 반응이 생각보다 좋았고, 국민들과 한 약속은 어느 정도 지킨 것 같다. 이번 전시회 후 50곳 정도에서 독도 전시회를 하자는 요청이 왔다. 많은 사람들이 독도에 관심이 크다는 것을 실감하는 시간이었다. 사진을 찍기 위해 2012년 8월 독도를 처음 찾았을 때 느낌이 어땠는지 궁금하다. 독도를 처음 방문한 것은 2011년 10월이다. 한국문화협회 문화인들과 함께 1시간 정도 독도 선착장에서 사진을 찍었다. 물론 긴 시간 본격적으로 독도 사진을 찍은 것은 2012년 8월부터 동북아역사재단과 함께한 작업이다. 2011년 독도를 처음 봤을 때는 독도가 조금 멀게 느껴졌다. 본격적으로 작업을 하기로 맘을 먹고 2012년에 방
인터뷰 · 진행 ┃ 홍성근 독도연구소 소장
언론의 독도 관련 고지도 보도 현황과 문제점
기고 언론의 독도 관련 고지도 보도 현황과 문제점 독도에 관한 대중들의 관심이 커지면서 독도 관련 언론 기사는 과거와 달리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국제정치 분야, 특정 정치인의 독도 관련 행태, 독도의 생태와 주민생활, 국방과 관련 독도 문제 등 실로 다양한 영역에서 기사가 쏟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에는 독도 관련 고지도를 소개하는 언론 기사도 상당히 많다.영유권의 증거 자료로서 고지도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고, 국내외에서 독도 관련 고지도가 발견되면서 우리 영유권을 확인하는 증거자료로 언론에 공개되고 있다. 고지도를 소개하는 기사는 시각적으로 대중들의 눈길을 끌 수 있기 때문에 중앙 일간지뿐만 아니라 지방신문, 인터넷 매체, 지상파 방송에서도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이런 기사들은 대중들이 독도 영유권을 확고하게 인식하도록 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일부 기사들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고증을 거치지 않은 채 제보자 의견만 듣고 일방적으로 수록하여 내용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있다.중앙 일간지를 비롯하여 지방 일간지, 인터넷 신문에 독도 관련 고지도를 소개한 언론 기사들은 1990년대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독도 관련 쟁점이 있는지에 따라 연도별로 편차가 크다. 1990년대 가장 많은 건수를 기록한 1996년에는 한·일 양국이 200해리 EEZ를 선언하면서 경계획정이 중요한 문제로 떠올랐다. 또 일본 정부가 독도영유권을 주장하며 한국 정부에게 독도 경비대 철수와 계획 중인 새 접안시설 공사 취소를 요구하자 한국에서는 국민들 사이에 반일 감정이 극에 달했고 독도 관련 기사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2000년대 들어와 2005년에는 일본 시마네현(島根縣) 의회가 이른바 ‘다케시마의 날’을 지정하는 조례를 제정하였고, 2008년에는 미국 의회도서관이 ‘독도’를 주제어에서 삭제하기로 하는 예비결정을 내리고 회의를 소집하였다. 또 이 시기 미국 지명위원회가 독도를 ‘주권 미지정 지역’으로 새로이 분류하면서 국내에서는 독도 영유권이 위협받는 상징처럼 받아들여져 엄청난 파문이 일어났다.최근 2012년과 2013년
오상학 제주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