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보고
중국에서 찾은 고조선 문화 유적
재단은 7월 13일부터 18일까지 국사편찬위원회와 공동으로 한국 상고·고대사와 관련된 역사 현장인 산해관과 갈석산, 요녕성내몽골자치구 일대의 신석기~청동기시대 여러 유적을 답사하였다. 조사지역은 중국 하북성(河北省) 진황도(秦皇島), 요녕성(遼寧省) 능원(凌源)과 조양(朝陽), 내몽골자치구(內蒙古自治區) 적봉(赤峰) 일원이었으며, 재단 김학준 이사장과 국사편찬위원회 김정배 위원장을 공동 대표로, 재단의 고광의 역사연구실 2팀장, 필자, 강정미 홍보팀장, 윤지훈 행정원과 국사편찬위원회의 박남수 편사연구관, 조영광 편사연구사 등 두 기관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하였다.▲ 장성 동단 노룡두에 선 김학준 재단 이사장 (왼쪽)과 김정배 국사편찬위원장7월 13일, 섭씨 40도가 넘는 폭염 속에 답사단은 하북성 노룡현(盧龍縣) 영평부성(永平府城)과 난하(灤河), 창려현(昌黎縣)의 갈석산(碣石山)을 찾았다. 이 지역은 학계에서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고조선 강역 논란의 중심 무대다. 현재 학계 일각에서는 난하와 갈석산을 고조선의 서쪽 경계로 인식하고 있으며, 낙랑군(樂浪郡) 수성현(遂城縣)의 치소를 바로 영평부성으로 비정하고 있는 상황이다.갈석산·난하 유역 고조선의 흔적과 장성의 동단이 가운데 갈석산은 남쪽에서 요서 지역으로 들어오는 중요한 길목에 우뚝 솟은 장대한 산으로, 역사상 고대부터 한국과 중국 사이 경계가 되는 주요 표지 역할을 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한편, 영평부성은 현재 남아 있는 성곽의 구조, 축성 방법으로 봤을 때 성곽 자체만으로는 고조선의 중심지라고 직접 연관시켜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이 답사단의 판단이었다. 이와 관련한 문제는 향후 성 안팎과 주변 유적을 치밀하게 조사하고 사료를 분석하여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공감하였다.중국은 2012년 느닷없이 ‘장성보호공정’을 들고 나와 장성의 총길이를 4배 이상 늘려 발표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이에 앞서 특히 2000년대 이후 중국은 압록강 북안에 자리하고 있는 호산산성(고구려시대의 박작성으로 비정)
글 정원철 (역사연구실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