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소식
"올바른 한·중 교류"를 위한 나침반
재단은 지난해 12월 23일 서울에서 중국사회과학원(사회과학문헌출판사, 한국연구중심) 한국현대중국연구회와 함께 ‘2014 한중인문학술교류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서울 포럼은 ‘2013년 베이징 중한인문학술교류 포럼’에 이어 열린 것으로 “동아시아 국가 간 올바른 소통과 상생을 위한 한·중 관계”를 대주제로 한·중 양국 전문가 31명이 참여하여 제1세션 (‘동아시아 소통을 위한 올바른 한중 인문교류’)과 제2세션(‘동아시아 상생을 위한 한중관계’)으로 나누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번 포럼에 참석한 중국학자들은 시종일관 이석 없는 깨끗한 회의 매너와 더불어 준비해 온 발표문의 진실성을 보여주었다. 필자가 지켜 본 이번 포럼의 중심 단어는 “올바른 교류”였다. 사전에는 교류의 뜻을 “근원이 다른 물줄기가 서로 섞여서 흐름 또는 그런 줄기”라고 풀이하면서 “문화나 사상 따위가 서로 통함”으로 해석하고 있다. 국제관계에서 교류, 즉 한·중, 한·미, 한·일 교류 등을 논할 때 일반적으로 국가 간 물적· 인적 교류를 우선한다. 지난 한 해 동안(2014년 1월~11월까지) 한국과 주요 국가 간 교역량은 어떠했을까? 한국무역협회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중은 2643.8억불, 한-미는 1054.9억불, 한-일은 791억불 순이었다. 그리고 2013년 한국을 찾은 외국인 총 10,678,334명 중 중국인은 36.7%(3,923,190명), 일본인은 25.4%(2,715,451명), 미국인은 7.0%(743,017명)이고, 유럽 국가군은 5.6%(593,863명) 순이다. 이처럼 한국과 물적 교류가 가장 왕성하면서 인적 교류에서도 뚜렷하게 증가한 국가는 단연 중국 43.6%(1,192,069명)이다. 게다가 한중 양국은 수교 22년만인 2014년 11월 10일에 한-중 FTA에 대한 실질적인 타결을 선언했다. 이는 앞으로 한중간 “교류”의 ‘가속화’와 ‘확대’로 이어질 것임에 틀림없다.중·일 수교 40년에서 얻는 교훈주의할 점은 국가 간 교류 가속화와 확대 이면에는 동전의 양
글 | 차재복 정책기획실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