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현해탄의 파고를 넘어
전근대 시기까지 한국과 중국, 일본은 한자와 유교문화를 공유하는 이른바 ‘동문(同文)세계’로서 서로 밀접하게 교류하였다. 오늘날에도 경제공동체, 문화공동체, 가치공동체로서 ‘동북아공동체’ 담론이 활발하다. 과거 역사를 생각해 보면, 동북아시아는 어느 지역보다 공동체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좋은 조건이다. 그런데 현실은 그 반대다. 현재 동북아시아에서 유럽연합(EU)이나 아세안(ASEAN) 같은 지역공동체 구축은 요원하다고 여겨진다. 오히려 과거사와 영토문제 때문에 당사국 사이 갈등이 위험수위에 육박하고 있으며, 우발적인 계기로 무력 충돌이 생기지 않을까 우려해야 하는 상황이다.한국과 중국, 일본 모두 비슷한 시기에 새로운 정권이 들어섰고, 세 나라 정상은 모두 전후세대로 비슷한 연령대라는 공통점이 있다. 어느 때보다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만나 동북아시아의 미래를 위한 건설적 의제를 교환할 가능성이 높아 보였다. 그런데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정상은 새 정부 출범 1년이 지나도록 아직 정식 정상 회담을 하지 못하였다. 양국 관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며, 국민들의 상호인식도 악화일로다.2015년 6월 한일 양국은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이한다.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야 하는 중요한 분기점에서 양국은 발전적인 모멘텀을 준비하지 못하고 있다. 현해탄의 파고는 어느 때보다 높고도 거칠다.상황이 이렇게까지 나빠진 원인은 양국 모두에게 있을 것이다. 일본에서 반한여론이 고조된 계기는 2012년 여름 이명박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하고 뒤이어 일본국왕에게 사죄를 요구한 것, 일본의 국제적 지위를 격하하는 발언 등 이른바 ‘3종 세트’를 들 수 있다. 국제사회에서 과거사 문제에 강경하게 발언하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해서도 일본인들은 불편하게 생각한다. 그런데 필자가 보기에 갈등의 가장 큰 책임은 변동하는 국제정세에 적응하기를 거부하고 거꾸로 질주하는 일본의 일부 정치세력에 있다고 생각된다.일본 일부 정치인들의 빈곤한 역사인식오늘날 일본은 수준 이하의 담론과 행동들이 횡행하는 상황에
하우봉 전북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