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만주-연해주에 대한 통합연구, 동북아 공존의 출발점
배경한 신라대 교수 -->오늘날 ‘만주(滿洲)’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등 중국 동북3성을 떠올릴 것이다. 또 ‘연해주(沿海洲)’는 해안지역을 뜻하는 ‘프리모르스키 크라이(Primorskij Kraj)’라는 러시아어를 번역한 것으로 ‘동해에 접한 러시아 영토’를 가리킨다. 이처럼 현재 만주와 연해주는 각기 중국과 러시아 영토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흔히 양자를 아무 관계도 없는 전혀 별개의 지역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양자 사이에 산맥이나 강줄기가 가로놓여 있지만, 지도를 펴놓고 이 지역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두 지역이 밀접히 연관된 인접 지역임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동부만주와 연해주는 기후나 식생 등 자연환경이 비슷할 뿐 아니라, 만주 중심부를 관통하는 쑹화강(松花江)은 만주 외곽을 감싸고도는 아무르강(黑龍江)과 합류한 다음 연해주를 거쳐 오호츠크해로 흘러든다. 한반도가 오랜 세월 하나의 역사공동체를 형성했던 것처럼 만주-연해주도 불과 150여 년 전만 하더라도 하나의 통합된 공간으로 존재했었다. 만주-연해주는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의 동부만주와 연해주는 춥고 습한 산림지대로서 오랫동안 사냥과 채집을 위주로 하는 수렵민의 터전이었다. 이에 해 중부만주는 비교적 따뜻하고 비가 많이 와서 우리 조상에 해당하는 농경민들이 거주했고, 서부만주는 건조하여 유목과 사냥을 병행하는 유목민들이 거주했다. 이들 여러 족속과 민족은 때로는 반목하거나 대립하고, 때로는 소통하거나 융합하면서 만주-연해주의 역사를 일구어왔다. 상호 소통과 융합의 공간, 분쟁과 갈등의 장으로 변모가령 고대에는 한국 고대국가인 부여, 고구려, 발해 등이 이 지역의 헤게모니를 장악했다. 특히 고구려는 여러 갈래로 나뉘어진 예맥족을 하나로 통합했고, 발해는 동부만주를 거점으로 중부만주와 연해주까지 석권했다. 발해 멸망 이후 한동안 이 지역과 한국사의 관계는 단절되었지만, 서부만주의 거란족이나 동부만주의 여진족(만주족)은 요(遼), 금(金), 청(
여호규 한국외대 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