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뉴스레터

역사 문화교사 해외 교환 방문 수업 갈등을 넘어 서로 바라보기
연구소 소식 역사 문화교사 해외 교환 방문 수업 갈등을 넘어 서로 바라보기  글 _ 박중현양재고등학교 교사역사 문화교사 해외 교환 방문 수업고이즈미를 필두로 아베 신조, 아소 타로 등 극우파 수상의 등장은 동아시아를 역사 갈등의 풍파에 휩싸이게 하였다. 그러나 태풍이 가면 햇살이 돋듯이 동아시아는 지금 새로운 희망을 준비하고 있다. 자민당 장기집권에 종지부를 찍고 등장한 민주당의 하토야마 수상은 취임 일성으로 ‘동아시아 시대’를 부르짖었다. 오카타 외상은 ‘한·중·일 공동 교과서’의 제작, 사용을 운운하였다. 동아시아가 담론의 시대를 넘어 현실로 다갈 설 것인가? 그 화두와 희망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역사 갈등의 출발은 후쇼샤판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답은 역사교과서, 역사 교육에서 찾아야 한다.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몰입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라 할 수 있다. 하나는 지역에서 채택함에 따라 고교보다 채택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수월성이며, 또 하나는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을 ‘전쟁이 가능한’ 또는 ‘전쟁을 할 수 있게’ 키우려는 것이었다. 1996년 후지오카는 한 신문에 “역사교과서의 현 상황은 중대한 정치 문제이다. 장차 총선거의 일대 쟁점으로 국민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에서 역사교육의 정치적 결합을 유추할 수 있다.동아시아 평화의 단초는 청소년에게서그렇다면 역사 갈등의 매듭은 ‘평화를 지향하는’, ‘상대를 이해하는’ 청소년이 풀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동북아역사재단이 ‘역사 문화교사 해외 교환 방문 수업’을 기획·공모한 것은 상대방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확대함으로써 미래를 함께 살아갈 기반을 제공하자는 취지를 담고 있다고 이해했다.공모를 보고 참여한 학교는 사실 많지 않았다. 국제적 교류라는 것에 대한 부담감, 또 하나는 마땅한 파트너 찾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한편, 상호 간에는 합의를 하였으나 일본이나 중국의 학교 또는 상급 기관이 이를 불허한 사례도 필자가 확인한 것만 여러 건이 었다. 그만큼 아직 동아시아에는 넘어야 할 산이 많았다.
박중현 양재고등학교 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