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동북아역사재단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로고

2024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 학술회의 개최
  • 조회수 1316

2024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 학술회의 박지향 이사장 인사말

2024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 학술회의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인사말

2024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 학술회의 단체사진

2024년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 학술회의 전경

 

2024년 제7회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기림의 날을 기념하여, 89일 재단 대회의실에서 국사편찬위원회와 공동국제학술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회의의 주제는 동아시아의 전쟁·식민주의 인식과 기억정치: 일본군위안부역사에 대한 앎과 지식”이다. 

 

한국 정부는 평화와 인권 관점에서 위안부문제를 기억하기 위해 매년 814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 일본 정부는 일찍이 고노 담화를 통해 피해자의 상처에 공감하며 이 문제를 역사의 교훈으로 직시해 나가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또한 한국과 일본 연구자들은 동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전쟁과 폭력을 반복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일본군위안부문제의 실체적 진실과 각 주체의 인식 차이를 추적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애써 왔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그러한 실천들이 제대로 계승되지 못하고, 오해와 선입견, 피로감 속에서 갈 길을 잃어버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번 회의의 목적은 일본군위안부문제를 둘러싼 생산적 토론이 곤란해진 현재 상황을 타개하고, 이를 위해 전쟁 및 식민주의 인식과, ‘위안부역사에 관한 대중사회의 앎과 지식’ 문제에 주목하고자 했다. 

 

<1: 역사 갈등 극복과 탈식민주의 과제>에서는 생산적 토론을 위한 쟁점 설정을 어렵게 하는 식민주의 인식과 극복 문제를 다루었고, <2: 식민지 없는 식민지 역사 이해와 일본군위안부문제>에서는 한국인 위안부의 피해 문제가 최대 쟁점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민지 조선 등의 성관리 정책이나 여성매매 문제에 관한 지식공유는 빈약한 상태에 있다는 점을 검토했다.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