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도서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 작성일2025.03.13
  • 조회수785

영문도서 독도

Korea’s Sovereignty over Dokdo

 

 

o 저자

Doh See-hwan

o 사양

신국판 | 306

o 분류

외국어도서

o 정가

24,000

o 발간일

20241231

o ISBN

979-11-7161-178-2

 

 

 

저자

도시환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실장·독도체험관장


One Hundred Years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History and Tasks(Ed., Peter Lang, 2015), 한일협정 50년사의 재조명 ~Ⅴ』(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12~2016),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과제(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18~2020), 독도 영토주권과 국제법적 권원 ~Ⅲ』(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2022),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70년의 역사와 과제(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한국의 독도주권과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23)

도서 소개

한국의 독도 주권에 대한 일제식민주의 침탈의 국제법 법리 왜곡 규명

 

독도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한국의 영토이다. 아울러 독도는 일본의 한국 침탈의 첫 희생물이자, 광복과 함께 완전한 영토주권 회복의 상징이다. 그러나 한국 영토주권의 상징인 독도에 대한 1905년 일본제국주의의 침탈 도발은 120년이 지난 현시점까지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그것은 전후 청산의 기본원칙에 대한 위반임과 동시에 동북아평화공동체 구축에 역행한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존재한다. 그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책은 일본 정부가 국제법을 동원하여 제기하는 독도 영유권 주장의 국제법 법리 왜곡의 본질적 문제점을 깊게 들여다보고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일본 정부 주장의 정책적 토대를 구축해 온 일본 국제법학회의 국제법 권원 연구에 내재된 일제 식민주의와, 1943년 한국의 독립을 최초 천명한 카이로선언 상의 폭력과 탐욕이 본질적 실체로서 일치할 뿐만 아니라, 국제법 법리 왜곡으로 귀결되는 문제점을 추적하여 규명하고 있다.

차례

Preface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Absence of Japan’s claim to Dokdo by the Territorial Policy of the Allied Powers toward Japan

Chapter 3. Denial of Japan’s Invasion of Dokdo and Japanese Colonial Responsibility by the Japanese Government

Chapter 4. Distortion of International Legal Titles on Dokdo by Japanese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Chapter 5. Revisiting International Legal Titles on the 120th Anniversary of Korean Imperial Ordinance No. 41

Chapter 6. International Legal Challenges on the 70 Years of History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Chapter 7. International Legal Review of Japan’s Invasion of Dokdo and the History of Japanese Colonialism

 

Appendix

Epilogue

Dokdo Timeline

Index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