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총서
일본서기와 '천황제'의 창출 - 후지와라노 후히토의 구상
  • 작성일2012.07.02
  • 조회수4921





1. 본 홈페이지에 탑재된 파일의 저작권은 동북아역사재단이 가지고 있습니다.

2. 어떤 형태나 어떤 방법으로도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도서명 :《일본서기와 '천황제'의 창출 - 후지와라노 후히토의 구상》

오야마 세이이치 지음/ 연민수·서각수 옮김
동북아역사재단 | 신국판 | 293쪽 | 12,000원 | 2012년 6월 27일

ISBN 978-89-6187-272-0 93910


본서는 오야마 세이이치(大山誠一) 교수의 『천손강림의 꿈-후지와라노 후히토의 프로젝트-』(NHK출판사, 2009)를 번역한 것이다. 본서의 목표는 천황제에 대한 본질을 파헤치는 것이다.  천황제의 성립은 천황 통치의 역사적 정당성을 주장한 『일본서기』의 편찬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일본서기』에 대한 비판서이기도 하다.
 일본의 역사에서 천황과 천황제는 무엇인가에 대한 논란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그 중에서 천황의 정치적 권력은 실질적으로 행사되지 않았다는 것이 통설이다. 이러한 천황을 둘러싸고 일본인은 천황은 현실적인 정치권력을 갖지 않지만, 역으로 그 천황을 조종하는 일이야말로 정치권력을 장악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 이것은 혼인관계에 의해 황실의 외척이 되는 형태로 나타났다. 그런 까닭에 시대의 권력자에게 천황은 신적인 존재로 자리매김되어야 하고, 그 권위는 교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종교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서에서는 이러한 천황 및 천황을 전제로 한 정치질서 즉, 천황제는 언제 어떻게 성립했으며, 세속성을 배제한 권위라는 것은 무엇인가를 밝히고 있다.

 




차례


*저자 서문

 

*역자 해제

 

I. 『일본서기』의 구상

 

 제1장 쇼토쿠태자의 탄생

 

   1. 쇼토쿠태자 관계 사료의 재검토 
         구메 구니타케의 지적 / 쓰다 소키치의 지적 / 재검토:호류사 계통의 사료 1–9약사상 광배 명문 /
       재검토:호류사 계통의 사료 2–금당 석가상
광배 명문 / 재검토:호류사 계통의 사료 3–9천수국수장의
       명문 /일본풍시호는 언제부터인가? / 재검토:호류사 계통의 사료 4–『삼경의소』 /역사로서의 금석문/ 
       이요유노오카 비문의 재검토

 

    2. 쇼토쿠태자 신앙이라는 굴레
        부정된 쇼토쿠태자의 실재 / 나가야왕가 목간의 출현 / 쇼토쿠태자상의 성립/『일본서기』 편찬과 도지/ 
        후지와라노 후히토와 나가야왕 / 2월
22일의 수수께끼 / 나가야왕 일족의 원령 / 고묘황후의 싸움 /
        쇼토쿠태
자 신앙의 성립

 

    3. 역병 유행과 왕권의 변용
        일본 역사상 최대 사건 / 사망자는 인구의 14%? /역병 유행과 흔들리는왕권 /진짜 권력자는 누구인가?/
        일본인에게 불교란 무엇인가? / 인도사상 속의 불교 / 일본인의 전통적 종교관과 불교 / 
        후지와라씨의 일부였던 황실

 

 제2장 『일본서기』의 허구

 

    1. 불교 전파 기사의 허구 
         허구의 주변 / 불교 전파 기사의 허구를 벗기다 / 중국을 모방하다 / 숭불논쟁이라는 픽션 /
         도지의 영리한 계략 / 『일본서기』 편자가 지어낸 이야기 / 불교는 언제 전파되었을까? / 불교 전파의
         실제

 

     2. 『수서』의 왜왕은 누구인가? 
          스이코는 대왕이 아니었다? / 배세청이 만난 왜왕 / 『수서』의 신빙성 /『수서』의 왜왕은 남성이다/ 
        『수서』의 왜왕은 누구인가? / 『일본서기』의
왜왕은 ……

 

 제3장 실재한 소가왕조 
      
       1. 허구의 왕권
         역대 대왕의 신빙성을 의심하다 / 대왕의 호칭 / 대왕의 계보 / 요메이도 대왕이 아니었다 /
        『일본서기』에 있었던 ‘계도일권’ / 불편한 역사 / 스슌도 대왕이 아니었다

 

      2. 소가왕조 
          소가노 우마코의 권력 / 능묘를 검토하다 / 교차하는 두 개의 현실 / 『일본서기』의 논리 / 
          긴메이릉(우메야마고분)을 둘러싸고 / 기타시히메의 이장은 무엇을 위해서였을까? /
         소가 일족으로서의 긴메이

 

 제4장 왕권의 제문제 
      
        1. 왕권의 성립과 전개 
          해명된 진실 / 『일본서기』의 사료로서의 어려움 /일본 문화의 기층인 조몬시대/‘야마토왕권’의 성립 / 
          동서를 나누는 벽 / 야마토왕권의 구조 /가쓰라기씨라는 파트너 / 야마토왕권의 발전과 붕괴 /
          야마토왕권에서 ‘야마토’왕권으로 / 거점으로서의 오미 / 게이타이왕조의 출현 / 게이타이의 인물상/ 
          긴메이는 소가씨계 / 비다쓰와 오사나가씨

 
        2. 우마코 이후 
           누가 소가노 우마코를 이을 것인가? / 소가씨와 오사나가씨 / 조메이에서 에미시·이루카로 /
           645년의 쿠데타 / 왜 우마야도였을까? / 을사의변을 정당화하다 / 우마야도왕과 덴지·덴무



II. 천손강림의 꿈

 

  제1장 천황제 성립의 길

 

      1. 황제가 될 수 없었던 대왕 
          중국 황제를 모방할 수 있을까 / 천황의 권력이란 / 상대적이었던 ‘치천하대왕’의 권력 /
          실질적인 권력은 어디에

 

      2. 강대한 왕권의 창조 
         덴무를 어떻게 평가하는가 / 백강의 악몽 / 무능했던 오아마황자 / 범용한 정치가 /
         ‘요시노의 맹약’과 새로운 지도자의 출현 / 초월적 왕권확립의 시도 / 후지와라노 후히토의 등장

 

  제2장 후지와라노 후히토의 프로젝트

 

      1. 후지와라노 후히토의 역할 
             후지와라왕조의 시대로 / 후히토와 흑작현패도의 유래서
       
        2. 프로젝트X–9구사카베황자의 옹립 
             환상으로 끝난 구사카베의 즉위 / 최고 존재라는 근거 / 가키모토노 히토마로 만가의 의미 / 
         천황 신격화의 시작

 

      3. 프로젝트Y–가루황자의 옹립 
            지토의 즉위와 후히토의 술책 / 다케치황자의 죽음과 가루황자의 옹립–9 프로젝트Y의 성취 / 
         몬무의 즉위와 ‘다카마노하라’의 등장

 

      4. 프로젝트Z–오비토황자의 옹립
              오비토의 탄생과 몬무의 죽음 / 아헤황녀를 황후로 / 겐메이의 즉위와 ‘불개상전’의 창조

 

  제3장 천손강림신화의 성립

 

      1. 천손강림신화로의 길
         
반전을 거듭한 신화만들기 / 서로 다른 몇몇 신화의 존재

 

      2. 프로젝트X·Y의 신화
        
프로젝트X의 신화–9천황신화의 발생 / 프로젝트Y의 신화–9선택된 아마테라스계의 신화 /
         어디에 강림한 것일까

 

      3. 프로젝트Z의 신화 
         
프로젝트Z의 신화–다카미무스히로의 이행 / 다카미무스히는 후지와라노 후히토 / 
         다카미무스히계 신화의 문제점

 

      4. 『고사기』의 신화 
         천손강림신화 성립의 3단계 /『고사기』 강림신화의 모순 /기본은 아마테라스계/겐메이조의 수정/
        『고사기』 신화의 최종 책임자

 

  제4장 천황제를 둘러싸고

 

        천황제는 알 수 없다 / 명쾌한 천황제론 / 황국사관 / 마르크스주의적 역사관 / 제도사 연구 / 
        후쿠자와 유키치의 천황관 / 왜 『일본서기』에 규제받는 것일까

 

*관련연표

 

*후기

 

*저자와 역자 소개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