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총서
러시아와 한국
  • 작성일2011.06.13
  • 조회수4085




 

 

1. 본 홈페이지에 탑재된 파일의 저작권은 동북아역사재단이 가지고 있습니다.
2. 어떤 형태나 어떤 방법으로도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도서명 : (번역총서 29)《러시아와 한국》Russia and Korea

 

박 보리스 드미트리예비치 지음
민경현 옮김
동북아역사재단 |신국판| 799쪽 | 23,000원 | 2010년 12월 30일
ISBN 978-89-6187-215-7 93900

 


이 책은 1979년 처음 출간 후 동아시아 국제관계 연구에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박 보리스(Boris D. Park) 교수의 동명의 책을 번역한 것이다. 하지만 발간 당시 한반도와 동아시아를 둘러싼 냉전 분위기로 이 책의 성과를 한국 사회가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많았다. 하지만 저자가 러시아의 시각으로 본 동아시아국제관계와 한러관계의 미시적 해석은 오늘날까지도 유효하며, 국내외 학계의 동아시아 국제관계사를 탐구하는 연구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동북아역사재단에서는 한러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2004년의 개정판을 번역 국내에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13세기부터 1910년 한일강제병합에 이르기까지 한러 양국의 관계사를 통사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라는 좁은 지역의 한계를 벗어버리고, 서구 중심 시각을 뛰어 넘어 러시아와 한국의 관계사를 촘촘히 비교하여, 역사로 재구성하면서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이어진 한러 관계의 중요한 전통들을 보호하고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는 저자의 입장이 잘 정리되어 있다.

 

차례

 

발간사
역자 서문
들어가는 말

 

제1장  한ㆍ러 관계의 기원
제2장  19세기 중엽 조ㆍ러 관계 형성의 시작
제3장  조선 항국 개항을 위한 서양 강대국들과 일본의 전쟁
제4장  1880년대 후반 일본ㆍ청ㆍ서구 열강의 조선 침략과 1888년 조ㆍ러육로 통상장정
제5장  청일 전쟁 이전과 전쟁 당시 러시아의 대조선 정책
제6장  청일전쟁이후(1896~1897) 조선에서 러시아 영향력의 강화
제7장  19~20세기 러시아의 평화적인 한국진출과 실패
제8장  1904~1905년 러일전쟁 직전 및 그 시기의 한ㆍ러 관계
제9장  일본 보호시기 러시아의 대한정책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