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 홈페이지에 탑재된 파일의 저작권은 동북아역사재단이 가지고 있습니다.
2. 어떤 형태나 어떤 방법으로도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제목 : (동북아역사재단 학술회의 자료집)
东亚的知识交流与歷史记忆
东北亚歷史财团 编
동북아역사재단ㅣ신국판ㅣ405쪽ㅣ15,000원ㅣ2009년 11월 5일
ISBN 978-89-6187-143-3-93900
이 책은 동북아역사재단과 동아시아사연구포럼이 공동 개최한 국제학술회의의 자료집(중국어판)이다.
회의에서는 동아시아 지식교류의 역사를 확인하고, 역사에 대한 집단기억이 형성되고 작동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논
의하였다. 이는 동아시아의 역사 경험과 기억을 공유함으로써 종국적으로는 동아시아에 내재해 있는 역사 갈등의
문제를 해소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발표된 35편의 논문 중 13편을 골라 이 책에 실었고,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3개 국어로 동시에 출판되었다.
차 례
제1부 해외정보와 지식의 유통
• 동아시아의 지식교류와 역사기억 / 다나카 요코
-가와라반(목판인쇄물)에서 본 페리 내항이 에도의 서민들에게 미친 영향
• 한역양학서와 19세기의 일본의 출판문화 / 아쓰미미 도시푸미
-홉슨의 서적을 중심으로
• 일본을 통한 근대기술 및 지식의 수용과 그 변용 / 허동현
-1876~1884년 사이의 견일(遣日)사절을 중심으로
• 근대 와세다대학의 중국 유학생 / 양닝이
-1898~1931년 기간을 중심으로
제2부 아시아주의의 연쇄
• ‘소일본주의’, ‘민간재계주의’, ‘대아시아주의’ / 마쓰우라 마사타카
- 근대 일본에서의 아시아주의의 세 가지 가능성
• 유태경과 『아세아공론』 / 라경수
- 동아시아 지식교류사의 새로운 발견
• 다이쇼 시기 재경 타이완인 유학생과 아시아 / 지쉬펑
- 잡지 『아세아공론』을 단서로
제3부 역사상의 상호인식과 역사기억
• 근세 일본의 조선 인식 / 미야지마 히로시
- 임진왜란의 기억을 중심으로
• 청말 중국의 ‘아시아’론에서 이어진 ‘역사기억’ / 장칭
- ‘타자’인 일본과 조선을 함께 논함
• 안중근과 중국 / 왕위안저우
- 청위의 저서 『안중근』을 중심으로
• 중일전쟁 직후 식민지 조선인의 만주와 중국에 대한 인식 / 류시현
- 최남선의 기행문을 중심으로
• 식민지 역사경험 속의 ‘개인기억’과 ‘집단기억’ / 리청지
- 전후 타이완 「역사기억」의 구축과 변화
• 역사대화론 / 사이토 가즈하루
- 한·중·일 공통 역사교재 개발의 성과와 과제를 사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