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 홈페이지에 탑재된 파일의 저작권은 동북아역사재단이 가지고 있습니다.
2. 어떤 형태나 어떤 방법으로도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제목 : (동북아역사재단 번역총서 19)
위태로운 변경
토마스 바필드 지음, 윤영인 옮김
동북아역사재단ㅣ신국판ㅣ633쪽ㅣ20,000원ㅣ2009년 10월 22일
ISBN 978-89-6187-138-9-93910
중원(즉 한족) 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 초원과 중원왕조의 2000년 관계사에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 것이 바로 토마스 바필드의 『위태로운 변경』이다. 이 책은 중원-초원의 장기적 관계사에 대한 포괄적인 이론과, 초원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구체적 분석, 그리고 기존의 한족중심적 조공체제에 다른 시각을 제시한다. 이 책이 출판된 후 중원과 중앙유라시아의 관계를 다룬 대부분의 저서들에서 인용되거나 비판될 만큼 큰 영향을 미쳤으며, 비록 쉽지 않은 내용이지만 중앙유라시아와 정치조직, 정착문명과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차 례
• 머리말 - 초원의 유목세계
1. 초원의 정치구조와 변경관계
2. 권력의 순환
3. 문화적 생태환경
4. 내륙아시아의 유목생활
5. 부족의 조직
6. 초원 유목생활의 출현
• 제1장 통일된 초원부족·흉노제국
1. 제국연맹
2. 대외관계 : 한나라와의 관계
3. 흉노제국의 내전
4. 왕망의 새로운 정책
5. 혼란기의 외부변경전략
6. 제2차 흉노내전
• 제2장 중앙질서의 붕괴 : 외래왕조의 흥기
1. 선비 ‘제국’
2. 외부변경전략으로서의 귀환
3. 한나라의 붕괴 : 두 제국 전통의 종말
4. 체제적 붕괴 : 16국 시대
5. 흉노의 군사국가
6. 만주의 변경지역 : 이원적 통치체제의 대두
7. 선비 국가
8. 기타 북방국가 : 전진과 양
9. 탁발 : 제3차 정복
10. 유연 : 외래왕조와 초원
11. 탁발위왕조의 한화(漢化)
• 제3장 돌궐제국과 당(唐)
1. 제1돌궐제국
2. 중원의 카간
3. 제2돌궐제국의 흥기와 몰락
4. 위구르제국
5. 초원의 문명
• 제4장 만주의 후보들
1. 초원과 중원의 중앙권력 붕괴
2. 거란 요왕조
3. 여진족의 금왕조가 북중국을 정복하다
4. 분열된 초원
• 제5장 몽골제국
1. 칭기즈 칸의 흥기
2. 몽골의 정치구조
3. 몽골제국의 정복
4. 몽골의 전략과 정책
5. 몽골제국의 정치 권력 계승
6. 권력 투쟁 : 네 명의 대칸
7. 원왕조
8. 원왕조의 붕괴
• 제6장 초원의 늑대와 숲의 호랑이 : 명, 몽골족, 그리고 만주족
1. 세력의 순환
2. 원 이후의 몽골리아
3. 오이라트와 명
4. 동몽골의 귀환
5. 알탄 칸과 명의 강경 노선 포기
6. 만주족의 흥기
7. 청 초기 국가체제
• 제7장 마지막 유목제국 : 청제국의 몽골리아와 준가리아 합병
1. 만주족의 중원 정복
2. 청제국의 변경정책
3. 준가르 : 마지막 초원제국
• 맺음말-몽골의 쇠퇴에 대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