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침탈사
한말 '한일조약'체결의 불법성과 원천무효
  • 작성일2021.12.23
  • 조회수843

978-89-6187-661-2표지 

  한말 '한일조약'체결의 불법성과 원천무효

    

    

o 저자

이계형

o 사양

신국판 | 136

o 분류

일제침탈사 바로알기 16

o 정가

7,000

o 발간일

2021 1130

o ISBN

978-89-6187-651-3

o 구입처

교보문고인터파크알라딘 등

    

    

    

저자

이계형     

국민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문학박사)를 받았다국민대학교중앙대학교가천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친일진상규명위원회·대한민국역사박물관건립추진단 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현재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주요 저서로 한 줄로 읽는 한국현대사 연표 1945~2020(역사로, 2021), 한 줄로 읽는 한국근대사연표 1863~1945(국민대학교출판부, 2020), 새롭게 쓴 한국 독립운동사 강의(한울, 2020, 공저), 우리 말글을 목숨처럼 지킨 최현배(역사공간, 2019) 등이 있다.

도서 소개

오늘날 한일 강제 병합에 대하여 일제의 강제적·불법적인 통치에 자주적 근대화의 실현을 저지당했다는 한국의 입장과 ‘병합은 당시 국제법상 합법적이었으며 한국의 근대화 실현에도 기여했다는 ‘시혜론을 주장하는 일본의 입장 차이는 좁혀지지 않고 있다이 책은 러일전쟁 이후 일제의 국권침탈 과정을 한국과 일본이 맺은 ‘조약 ‘협약’ 등을 중심으로 서술하였다. ‘을사늑약한일병합조약의 체결 과정에서 나타난 불법성을 밝히고 이를 근거로 조약 무효의 근거들을 열거하였다한국과 일본 사이에 과거사 문제가 쟁점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이 시기 양국이 맺은 조약과 협약 등의 불법성 문제는 중요한 과제이다이 책이 과거는 물론 현재와 미래의 한일관계를 고찰하는 데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차례

발간사

     

을사늑약 체결과 불법성

1. 러일전쟁과 일제의 한국 ‘보호국화

2. 을사늑약 체결과 한인들의 저항

3. 통감부의 설치와 일제의 반식민통치 

정미조약 체결과 일본인 차관정치

1. 고종 황제 퇴위와 정미조약

. ‘한일병합조약’ 체결과 대한제국 멸망

1. 일제의 대한식민정책과 ‘한일병합조약’ 체결 과정 

2. ‘병합조약 체결의 불법과 무효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