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침탈 30장면 | ||
|
| |
o 저자 | 동북아역사재단 | |
o 사양 | 신국판 | 132쪽 | |
o 분류 | 일제침탈사 바로알기 2 | |
o 정가 | 7,000원 | |
o 발간일 | 2019년 10월 2일 | |
o ISBN | 978-89-6187-484-7 | |
|
| |
| ||
저자 | ||
| ||
도서 소개 | ||
최근 한일관계는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가장 악화되어 있다. 한일 간 분쟁이 이토록 오래 이어지는 이유는 과거사 문제를 명백하게 해결하지 못하고 묻어 두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일제강점기의 ‘상처’를 잘 달래면서 일본과 ‘가까운 나라’가 되기 위해 노력해 왔지만 일본은 그 역사적 상처를 헤집고 반성조차 하고 있지 않다. 한일 간 갈등을 풀고 미래의 평화체제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상처의 역사’를 바르게 보는 눈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 일본의 침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30개의 주제를 뽑아 정리한 것이다. 일본이 처음 한반도를 침탈하면서 내세운 ‘동양평화’의 실체를 비롯해 일제강점기에 행한 여러 정책들의 실상과 그 정책으로 인해 굶주리고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의 참상까지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일제 침탈의 실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 ||
차례 | ||
발간사 · 2
1. ‘동양평화’를 구실로 이루어진 일제의 조선 침략 · 6 2. 일제의 영토 침탈 첫 희생지, 독도 · 10 3. 「한일병합조약」, 강압에 의한 불법조약 · 14 4. 누가 나라를 팔았나 · 18 5. ‘한국인의 행복’을 위한 강제 병합? · 22 6. 조선의 토지를 장악하라, 토지조사사업 · 26 7. 일제의 한반도 침탈과 공창제 · 30 8. 민족분열을 목표로 한 ‘문화통치’ · 34 9. ‘일시동인’, ‘민의 창달’ 속의 정치 차별 · 38 10. 조선 농민 굶주림 속에 식량증산과 쌀 수탈 · 42 11. 같은 노동, 민족에 따른 차별 임금 · 46 12. 학살당한 조선 민중 · 50 13. 일제의 우리 역사 왜곡, 식민사학 · 54 14. 조선인은 ‘열등 민족’ · 58 15. 궁궐 파괴, 문화 훼손 · 62 16. ‘천황’의 신민으로(Ⅰ) : 황국신민서사, 신사참배 · 66 17. ‘천황’의 신민으로(Ⅱ) : 창씨개명, 일본어 상용 · 70 18. 사람과 물자, 남김 없는 ‘총동원’ · 74 19. 전쟁물자 생산에 강제 동원된 노동자 · 78 20. 조선인 강제 노동의 실상 · 82 21. 전장으로! - 지원에서 징병까지 · 86 22. 침략 전쟁의 정신적 지주, 야스쿠니신사 · 90 23. 전장으로 끌려간 여성들, 일본군‘위안부’ · 94 24. 전쟁의 불구덩이로 같은 민족을 밀어 넣은 친일파 · 98 25. 일제강점하에서 정말 근대화되었는가? · 102 26. 불철저한 과거사 청산(Ⅰ) : 한일기본조약-‘이미 무효’는 원천 무효- · 106 27. 불철저한 과거사 청산(Ⅱ) : 국교 정상화를 위한 4개의 부속 협정 · 110 28. 일본군‘위안부’는 성노예 · 114 29. 살아 있는 개인 청구권 : 대법원 강제 동원 노동자 배상 판결 · 118 30. 일본 정부의 진정한 사죄를 기다리며 · 122
참고문헌 · 126
찾아보기 · 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