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인 강제동원 | ||
|
| |
o 저자 | 정혜경 | |
o 사양 | 46판 | 188쪽 | |
o 분류 | 교양총서 12 | |
o 정가 | 9,000원 | |
o 발간일 | 2019년 6월 27일 | |
o ISBN | 978-89-6187-473-1 | |
|
| |
| ||
저자 | ||
| ||
도서 소개 | ||
우리는 왜 일본이 일으킨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에 대해 알아야 할까? 단지 조선인들에게 피해를 입힌 일본이 싫어서가 아니다. 일본의 침략전쟁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가 인간의 존엄성과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저해하고 훼손했기 때문이다. 무고한 전쟁으로 발생한 피해자 문제는 세계 시민이 지켜야 할 인권의 문제다. 이 책은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경험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을 되새기고 강제동원 문제가 남북한 공동과제라는 점을 공유하고, 한반도에 남은 8천 개가 넘는 아시아태평양전쟁 유적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기 위한 작은 디딤돌이다. | ||
차례 | ||
간행사
책을 펴내며
1장 불편하지만 외면할 수 없는 역사 1. 영화<군함도>와 <허스토리>에서 느낀 불편함 2. 사실의 무게를 안다는 것 3. 그저 일본이 싫은 게 아니야, 인류 보편의 가치를 지키라는 거야
2장 잘못된 출발, 아시아태평양정쟁, 패배를 껴안은 일본 1. 동양에 등을 돌리고 서양과 한패되기 2. 제1차 세계대전 전승국이지만 불안하고 불안하다 3. 그럼에도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전쟁을 선택했다.
3장 한반도를 공출하라, 조선인 강제동원 피해 1. 강제성, 있다!없다! 2. 전쟁 시절이었기에 3. 한반도를 공출하라 4. 전쟁에 동원된 조선인
4장 강제동원 피해의 상흔을 치유하는 길, 기억하고 실천하고 1. 일제 강제동원, 이름을 기억하라 2. 아시아태평양전쟁 유적, 평화를 위한 마중물 3. 기억하고 실천하며, 역사의 거울 닦기
미주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사건 연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