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 홈페이지에 탑재된 파일의 저작권은 동북아역사재단이 가지고 있습니다.
2. 어떤 형태나 어떤 방법으로도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제목 : 한·중·일의 전쟁유적과 동북아 평화
동북아역사재단 엮음
동북아역사재단 | 신국판 | 708쪽 | 18,000원 | 2010년 12월 10일
ISBN 978-89-6187-216-4 93910
차례
책머리에
동북아 평화벨트 시론 | 도진순
1. 문제의 제기
2. 정면 - 청일전쟁의 기억과 개념
3. 반면 - 여·원 연합에 대한 기억
4. 타산지석 - 새로운 기억의 창조를 위하여
5. 맺음말
평화와 화해, 중국 항전 관련 기념관의 교육 | 리종웬
1. 문제의 제기
2. 중국 항전 관련 기념관의 현황
3. 중국 항전 관련 기념관의 역사관
4. 중국 항전 관련 기념관의 내용 전시원칙
5. 중국 항전 관련 기념관의 역사교육
6. 맺음말
전쟁유적 보존과 동북아시아 평화구축의 과제 | 기미즈카 요시히코
1. 사라져가는 전쟁유적
2. 남겨진 전쟁유적과 '전적고고학'
3. 동북아시아의 전쟁유적 - 노두구 만인갱 유적
4. '전쟁유적' 보존·연구의 과제 - 동북아시아의 '평화' 구축과 '화해'
제2차 동학농민전쟁과 탄압 일본군, 농민대학살 | 이노우에 가츠오
- 병사의 향토, 시코쿠 각지를 방문하여 -
1. 머리말
2. 탄압군의 진로
3. 『주한일본공사관기록』
4. 「진중일지」와 「한국 동학당봉기」
5. 조선의 '민란처벌'에 대하여
6. 대대장의 「동학당정토약기」
7. 후비 제19대대장 조사에 관하여
8. 후비보병 제19대대에 관하여
9. 스나이더총에 관하여
10. 시코쿠의 신문기사
11. 『우와지마신문』
12. 『도쿠시마 니치니치신문』 그리고 『가이난신문』
13. 동학의 대리 집행
14. 가난한 일본의 병사에 관하여
15. 개선의 모습 - 『가이난신문』, 『도요신문』
16. 『가가와신보』의 논설
청일전쟁 사적보호와 동아시아 평화 증진 | 왕지허
1. 머리말
2. 웨이하이의 청일전쟁 역사유적
3. 청일전쟁 유적보호의 책임
4. 역사인식과 박물관의 역할
5. 평화이념교육의 주요 실증 - 역사유적지와 역사자료
6. 한중일 3국의 전쟁유적 보호 협력 가능성
7. 민간교류 증진을 통한 상호이해의 심화
8. 평화에 대한 기원
뤼순의 청일·러일전쟁 유적과 유물 및 동북아 평화 | 최봉룡
1. 머리말
2. 뤼순의 전략적 위치 및 청일전쟁 러일전쟁의 역사적 기억
3. 뤼순의 청일전쟁유적과 유물 및 기념시설 개관
4. 뤼순의 러일전쟁 유물과 유적 및 기념시설 개관
5. 동북아 평화 구축을 위한 전쟁유적의 활용
6. 맺음말
인천의 청일·러일전쟁 유적·유물과 동북아 평화 | 강옥엽
1. 한국 근대사에서의 인천
2. 청일·러일전쟁과 인천
3. 인천의 청일·러일전쟁 유적·유물과 그 활용방안
근대 전쟁유적과 유물을 통해 본 타이완인의 '국가 아이덴티티' | 주더란
1. 머리말
2. 근대 타이완의 전쟁 유적
3. 타이완에 현존하는 전쟁 유물
4. '황민화'된 타이완인
5. 다원적 '국가 아이덴티티'
6. 맺음말
일본의 대아시아 침략전쟁과 치란특공·나가사키 원폭
1. 머리말
2. 일본의 침략전쟁과 식민지지배의 역사 - 현대 일본의 왜곡된 '역사인식'을 중심으로
3. 충칭폭격과 나가사키 원폭
4. 치란특공기지와 조선인 특공대원
제주도 내 일본군 군사유적의 현황과 의미 | 박찬식
1.태평양전쟁 말기 제주도 상황
2. 제주도 내 일본군 군사유적 현황
3. 제주도 내 일본군 군사유적의 역사적 의미
4. 제주도 내 대표적인 일본군 전적기 안내
역사와 평화를 연결하는 가교 건설하기 | 주청샨
1. 머리말
2. 평화 이념으로서 난징대학살의 역사 계승
3. 평화 운동의 중심지로 거듭나는 난징
4. 난징대학살의 교훈을 통한 동북아 평화 구축
오키나와에서의 전쟁유적· 유물 조사와 보존·활용의 현황 | 이케다 요시후미
1. 머리말
2. 오키나와전의 경휘
3. 전적고고학의 제창과 그 후의 전재
4. 전적 지정기준의 개정과 그 후 오키나와현 내의 동향
5. 전쟁을 전하는 그 밖의 움직임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