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동아시아의 역사Ⅰ : 자연환경-국제관계
  • 작성일2011.12.27
  • 조회수5602






1. 본 홈페이지에 탑재된 파일의 저작권은 동북아역사재단이 가지고 있습니다.
2. 어떤 형태나 어떤 방법으로도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도서명 :《동아시아의 역사Ⅰ : 자연환경 - 국제관계》 
 
동북아역사재단 | 신국판  | 단행본 | 434쪽 |6,000원 | 2011년 12월 15일

ISBN 
978-89-6187-255-3  94910


 


발간사

 

제1장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선사시대부터 기원 전후까지

 

1. 동아시아의 자연환경_ 김정배
 Ⅰ.머리말
 Ⅱ.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Ⅲ. 동아시아에서 인류의 출현
 Ⅳ. 동아시아 구석기시대의 생활과 교류
 Ⅴ. 구석기시대의 도구
 Ⅵ. 맺음말

 

2. 선사문화_ 임상택
 Ⅰ. 고전적 신석기시대 개념과 동아시아 신석기시대
 Ⅱ. 동아시아 신석기시대의 지역과 시기구분
 Ⅲ. 토기의 등장과 신석기시대의 개시
 Ⅳ. 동아시아 신석기 문화의 전개과정

 


3. 동아시아에서 문명의 기원과 국가의 형성_ 이청규
 Ⅰ. 머리말
 Ⅱ. 문명과 국가
 Ⅲ. 중원문화권의 고고학적 문화
 Ⅳ. 북방문화권의 고고학적 문화
 Ⅴ. 동방문화권의 고고학적 문화
 Ⅵ. 동아시아 문명과 초기국가로 이행
 Ⅶ. 맺음말

 

4. 국가의 성립과 발전_ 김병준
 Ⅰ. 서론: '동아시아'와 '국가' 개념
 Ⅱ. 신화와 초기국가
 Ⅲ. 다양한 형태의 초기국가 형성
 Ⅳ. 초기국가의 발전
 Ⅴ. 고대국가의 형성
 Ⅵ. 맺음말

 

제2장 인구 이동과 문화의 교류   -기원 전후부터 10세기까지

 

1. '지역간 인구 이동과 전쟁' 단원 서술에 대한 시론- 이성제
 Ⅰ. 머리말
 Ⅱ. 인구 이동과 동아시아 세계형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두 가지 관점
 Ⅲ. 중국 군현세력 유입과 고구려·삼한
 Ⅳ. 5호16국·남북조 상쟁기 이주민과 고구려·백제
 Ⅴ. 맺음말: 고대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 문제와 관련하여

 

2. 고대 불교_ 최연식
 Ⅰ. 머리말
 Ⅱ. 불교 전래와 수용(1세기~3세기)
 Ⅲ. 국가불교체제 성립과 동아시아 전역 확산(4세기~6세기)
 Ⅳ. 4~6세기 불교사상과 신앙
 Ⅴ. 불교의 사회적 확산과 종합적 학문불교의 발전(7세기~8세기)
 Ⅵ. 교학연구의 쇠퇴와 실천불교의 발전(9세기~10세기)
 Ⅶ. 맺음말

 

3. 율령과 유교에 기반한 통치체제_ 전덕재
 Ⅰ. 위진남북조와 수·당의 통치체제
 Ⅱ. 삼국과 통일신라의 통치제체
 Ⅲ. 고대 일본 율령국가의 통치체제
 
4. 고대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조공·책봉_ 임기환
 Ⅰ. 머리말
 Ⅱ. 고대 동아시아 조공·책봉관계의 성격
 Ⅲ. 1~4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Ⅳ. 5~6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Ⅴ. 7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Ⅵ. 8~9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Ⅶ. 맺음말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