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식민지 도시화 | ||
|
| |
o 저자 | 염복규 | |
o 사양 | 신국판 | 416쪽 | |
o 분류 |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26 | |
o 정가 | 20,000원 | |
o 발간일 | 2024년 12월 30일 | |
o ISBN | 979-11-7161-166-9 | |
|
| |
| ||
저자 | ||
염복규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근현대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이데아, 2016), 『도시를 보호하라』(역사비평사, 2021, 공저), 『동아시아 재난의 근현대사』(역락, 2022, 공저), 『서울은 기억이다』(서해문집, 2023, 공저) 등이 있다. | ||
도서 소개 | ||
이 책은 2000년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도시사’를 식민지 시기에 방점을 찍고 서술하였다. 도시사는 상대적으로 한국근대사 영역에서도 그 출발이 늦었지만, 그 어떤 것보다 빠르게 연구사를 축적해 왔다. 반면에 이렇게 축적된 연구사가 일종의 통사로 정리된 적은 없다. 식민지 도시가 형성될 수 있었던 제도, 인구 구성과 행정구역의 변화, ‘신도시’와 ‘전통도시’가 각각의 맥락에서 식민지 도시가 되어가는 과정, 인프라 구축을 둘러싼 정치 등, 지금까지 축적된 연구 성과의 치밀한 정리를 시도하고, 여기에 더해 새로운 관점과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 책은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일제강점기 식민지 도시화의 전반적인 양상을 조망하고 앞으로 더 발전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
차례 | ||
머리말 1. 일제강점기 도시사 연구의 의미와 지형 2. 일제강점기 도시사 연구 동향 3. 이 책의 구성
제1장 일제강점기 도시 범주, 행정구역, 인구 1. 도시 범주의 제도적 형성 과정과 의미 2. 도시 행정구역의 변화 3. 도시 인구의 구성과 변화
제2장 일제강점 전후 도시 형성의 갈래와 양상 1. 강점 전후 ‘신도시’의 형성 2. ‘전통 도시’의 식민지적 변화
제3장 일제강점기 도시 인프라의 형성 1. 시구개정-시가지 도로망의 형성 2. 상하수도-도시위생시설의 정비와 좌절 3. 전차 운행과 도시 교통 4. 공원과 묘지-도시 공지의 ‘통제’ 5. 축항-개항도시의 핵심 시설 구축
제4장 일제강점기 ‘시가지 계획’과 ‘신공업도시’ 건설 1. ‘시가지 계획’의 전개와 도시 변화의 여러 양상 2. 일제강점 후기 ‘신공업도시’의 형성과 의미
제5장 도시 정치의 제도와 실제 1. 도시 정치의 제도적 변화와 구도 2. 도시 정치의 실제
맺음말 부표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