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만 조선인 통제(4) -1933~1945년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 자료집 | ||
|
| |
o 저자 | 김주용, 이명종 | |
o 사양 | 46배판 | 608쪽 | |
o 분류 |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78 | |
o 정가 | 35,000원 | |
o 발간일 | 2024년 12월 26일 | |
o ISBN | 979-11-7161-154-6 | |
|
| |
| ||
저자 | ||
김주용 원광대학교 역사문화학과 부교수 동국대학교 문학박사. 『재만 조선인 통제(1)-재만 조선인 이주정책과 친일단체 육성』(동북아역사재단, 2021),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이주, 정착, 저항의 점이지대』(경인문화사, 2018), 『만주지역 친일단체』(역사공간, 2014), 『대한독립대장정』(선인, 2021), 『일제의 간도 경제침략과 한인사회』(선인, 2008) 등
이명종 강릉원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대한제국기 간도영토론의 등장과 종식」(『동아시아문화연구』 54집, 2013), 「17·18세기 조선에서 ‘만주=고토’ 의식의 출현과 전개」(『동아시아문화연구』 58집, 2014), 「1910년대 조선 농민의 만주 이주와 《매일신보》 등에서의 ‘만주식민지’론」(『한국근현대사연구』 78집, 2016), 『새로운 현대 역사학의 명저들』(번역, 한양대학교출판부, 2016) 등
| ||
도서 소개 | ||
일제는 일본 국내의 과잉인구 문제를 해결하고 만주 지역을 개척하기 위해 일본인 이민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무장이민, 청소년의용단 등 일본인 집단 이민 정책이 실시되었지만, 그 효과는 미미했다. 특히 만주국에서 ‘자랑스럽게’ 계획하고 추진했던 100만 호 일본인 이민 계획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이에 반해, 한반도 남부에 거주하던 농민들은 선만척식회사라는 알선업체를 통해 집단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1930년대 초 약 100만 명의 한인 이주자는 1945년 해방 당시 약 220만 명으로 늘어났다. 이는 약 10년간 강제 이주된 한인 이주자의 규모를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이들 이주자는 대부분 흑룡강성의 남부와 북부에 집중되었으며, 현재도 이들의 삶의 흔적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자료집은 만주국 성립 이후 제국 일본의 패전까지 진행된 만주 지역으로의 한인 이주의 강제성과 그 정책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들로 구성하였다.
| ||
차례 | ||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 서문
I ‘만주국’ 시기 재만 조선인에 대한 단속 <해제> 1 반만항일(反滿抗日) 재만 조선인에 대한 단속 2 재만 조선 농민에 대한 통제
II 중일전쟁 이전 ‘만주국’ 시기 만주 이민 정책 <해제> 1 만주국 이민 정책의 개요와 정책 수립 2 재만 조선인 이민 정책의 성격 3 재만 조선인의 저항
III ‘안전농촌’, ‘집단부락’ 정책 <해제> 1 안전농촌 정책 2 집단부락 정책
IV ‘만주국’ 시기 재만 조선인 관리시설 <해제> 1 ‘만주국’ 시기 재만 조선인의 인구 현황 2 우가키 총독 시기(1931.6~1936.8) 재만 조선인 관리시설 3 1937년경 ‘만주국’의 조선총독부 시설 4 미나미 총독 시기(1936.8~1942.5) 재만 조선인 관리시설
V 중일전쟁 이후 조선인의 만주 개척 <해제> 1 개척민 정책과 ‘개척민’의 탄생 2 개척민의 종류와 형태 3 개척민의 생활 실태와 위상 4 만주개척의 연혁 및 조선인 개척
VI ‘만주국’의 치외법권 철폐와 재만 조선인의 상황 <해제> 1 일본의 만주국에 대한 치외법권 철폐 과정 2 치외법권 철폐 이후 재만 조선인의 상황
자료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