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시진핑시대 국가 편찬 대학교재의 역사교육 | ||
|
| |
o 저자 | 권은주, 우성민, 조용준, 이유표, 김종호, 이준성, 구도영, 한상준, 김지훈, 이승아, 유용태, 구소영, 홍영미 | |
o 사양 | 신국판 | 620쪽 | |
o 분류 | 연구총서 147 | |
o 정가 | 28,000원 | |
o 발간일 | 2024년 12월 30일 | |
o ISBN | 979-11-7161-164-5 | |
|
| |
| ||
저자 | ||
권은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발해사 자료총서-한국・중국사료 편』(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3・021), 『중국 시진핑시대 교과서 국정화와 역사담론』(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등
우성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세계정치 제38호] 중국사와 국제정치』(공저, 2023), 『한중수교 30년, 한중교류의 도전과 과제』(공저, 2022) 등
조용준 전 중국인민대학교 조교수 『殷商甲骨卜辭所見之巫術(증보판)』(中華書局, 2011) 등
이유표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西周 금문에 보이는 ‘周公’ 사적」(『중국고중세사연구』 65, 2022), 「‘夏文化’의 함정-‘禹’, ‘夏’, ‘二里頭’의 관계-」(『중국고중세사연구』 58, 2020) 등
김종호 서강대학교 부교수 『화교 이야기 : 중국과 동남아 세계를 이해하는 키워드 』(너머북스, 2021) 등
이준성 경북대학교 조교수 『안시성 기록과 기억』(공저, 역사공간, 2023), 『한원 번이부의 세계』(공저, 한원연구회, 2022) 등
구도영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문화의 유통 : 그 과정과 변이』(공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3), 『16세기 한중무역 연구』(태학사, 2019) 등
한상준 아주대학교 부교수 『한반도 정전체제의 형성 변동과 평화기획』(공저, 국사편찬위원회, 2024), 「1960년대 초반 북중관계 밀착 연구」(『중국근현대사연구』 94, 2022) 등
김지훈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연구위원 『전후 지식인의 이데올로기와 역사인식』(공저, 선인, 2021), 『동아시아 제국주의 질서와 역사인식』(공저, 선인, 2021) 등
이승아 한양대학교 강사 「대기근의 제도적 기원-국가의 식량 기획과 ‘합리적’ 유통의 실현」(『역사비평』 145, 2023) 등
유용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학생들이 만든 한국현대사』(공저, 2020), 『중국역사연구법』(역주, 2019), 『21세기 동아시아와 역사문제』(공편, 2018) 등
구소영 경북대학교 강사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과 신장위구르자치구의 개발」(『대구사학』 135, 2019), 「신강위구르자치구의 관광 개발과 ‘중화제국’ 만들기」(『인문연구』 73, 2015) 등
홍영미 경희대학교 강사 「首都·舊都·故都 : 南京國民政府 시기 舊都文物整理計劃과 北平의 도시정체성 변화」(『역사학보』 253, 2022) 등 | ||
도서 소개 | ||
중국 대학교재 분석으로 본 중국 역사 교육 전략과 국가 정체성
역사교과서에는 국가의 이념과 세계관이 함축되어 있으며, 집단 기억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서는 역사교과서가 곧 정치교과서로, 중국공산당의 정책이 매우 빠르게 반영되며 개정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역사교과서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시진핑 총서기는 역사교재 편찬을 국가권력으로 규정하며,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중등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하였고, 동시에 국가 주도의 대학교재 편찬을 강화하였다. 대표적인 것이 일명 ‘마공정(馬工程)’ 교재이다. 이 책에서는 시진핑 집권 이후 중국의 대학 역사교육 정책과 국가 편찬 교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이 책을 통해 중국이 역사교육을 이용하여 구축하려는 국가 정체성과 전략을 조망하고, 한중 간 역사 서술의 차이가 미래 양국 관계에 미칠 영향을 성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
차례 | ||
책머리에
총론 중국 대학 역사교육의 현황과 전망 시진핑 시기 중국 교과서의 국정화와 대학의 역사교육
제1부 중화민족공동체와 마르크스주의의 적용 중국 대학교 전근대사 교재의 집필 추세와 중화민족공동체 이론 중국 고등교육 역사교재 『중국사강요』의 편찬과 개정 : 노예사회, 봉건사회 서술을 중심으로 마공정 『중국근현대사강요』의 중국계 이주민 서술의 특징: 싱가포르 및 대만 역사교육과의 비교 분석
제2부 중외 역사에서 한국과 동아시아 서술의 함의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고조선(한4군)과 임나일본부에 대한 서술 변화: 식민사학의 영향과중화주의가 결합한 한국고대사상(像)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동아시아 고대사 서술과 인식: ‘문화 교류 및 전파’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중국 대학 역사교재에 나타난 ‘조선의 문화와 명·청과의 외교 관계 ’서술 경향과 인식 중국의 ‘항미원조전쟁’과 대학 역사교재 서술: 역사적 사실과 현재적 함의를 겸론(兼論)하여
제3부 중국사의 재구성, 세계사를 다시 쓰다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시기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변화: 고등교육출판사 대학교재의 제2차 세계대전 서술을 중심으로 중국 ‘마공정(馬工程)’ 역사교재에 담긴 세계 경제 발전의 재서술과중국의 길: ‘시장체제’에서 ‘신시대’로의 역사 재구성 발전도상국, 사회주의 대국, 반(反)패권: ‘마공정’ 『세계사』(2020)의 현대사 인식과 중국 형상
부록 민종 정책과 언어교육 중화인민공화국의 소수민족 교육 정책 변천: 신장위구르자치구를 사례로
중국의 언어교육 정책과 대학어문(大學語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