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침탈사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3)-도로 항만 정책의 수립과 운영
  • 작성일2025.03.18
  • 조회수429

일침 자료총서 45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3)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3)

- 도로 항만 정책의 수립과 운영

 

 

o 저자

이명학 외

o 사양

46배판 | 782

o 분류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45

o 정가

40,000

o 발간일

20241230

o ISBN

979-11-7161-168-3

 

 

 

저자

 

이명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학술연구교수

식민지 조선의 자동차 보급 추이와 시장 변화(민족문화연구105, 2024), 일제시기 동대문 일

대의 사회경제적 개발과 특징(서울과 역사118, 2024), 공익이라는 폭력: 일제시기 경성공립

농업학교의 이전과 토지 수용(역사문제연구54, 2024)

 

고태우 서울대학교 역사학부/대학원 국사학과 부교수

욕망에 대하여(사회평론아카데미, 2024, 공저), 새로 쓴 한국사특강(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4, 공저), 마이카로 향하는 여정: 한국인 자동차 소유 욕망의 전개와 한계(역사와 실학83,

2024), 공해의 민중사: 1970년대 한국의 공해재난과 반공해운동(서울과 역사118, 2024)

 

구병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위원

1910~20년대 조선총독부의 간이생명보험 제도 이식 과정과 특징(동국사학79, 2024), 조선

총독부의 간이생명보험 가입자 모집과 가입자의 대응(1929~1937)(한국사학보95, 2024),

시체제기 간이생명보험을 통한 강제저축과 하층민 가입자 확대(역사연구50, 2024)

 

김태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조선총독부의 국유림 확보 과정과 벌채 중심의 국유림 경영 (1911~1926)(사림90, 2024),

인 제작 유튜브 한국사 콘텐츠의 공공역사적 역할과 성격에 대한 시론적 고찰(동서인문학67,

2024) 일제의 한국삼림특별회계법 제정 배경과 영림창 운영의 성격(1905~1910)(도시사학회

36, 2024)

 

노상균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민족국가 부재 하에 경제발전 모색과 굴절-한말 계몽운동기 식산흥업론을 중심으로-(한국독

립운동사연구79, 2022), 1910년대 한반도 중북부 지역 상점 상인의 존재형태와 동향 (한국근

현대사연구107, 2023), 일제시기 흥신소 연구저신용사회식민지 조선의 사설조사기관-」

(한국사학보95, 2024)

 

박우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

총동원체제기 일제의 철도차량 증산계획과 일본차량제조 인천공장(역사와 현실133,

2024), 1930년대 후반 조선사업공채 정책 변화와 전시(戰時) 인프라 개발(역사와 현실132,

2024), 1920~30년대 점촌역 설치 이후 문경의 변화상과 지역 갈등(사림87, 2024)

 

박정민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

1920~30년대 후반 소래 지역의 성쇠와 지역사회의 대응(인문논총81-3, 2024), 물을 둘러싼

도시 대 농촌의 항쟁”: 1930년대 포항 상수도 수원지의 이전을 둘러싼 포항읍-흥해면 지역사회

의 대립(역사문제연구53, 2023)

 

박진서 서울대학교 역사학부 강사

총동원체제기(1939~1945) 강제동원 조선인 노무자 대상 재해부조의 연원과 양상(한국학

연구67, 2022), 근대 한국에서의 황린(黃燐)성냥 퇴출 배경과 그 의미(생태환경과 역사9,

2022), 총동원체제기 강제동원 조선인 노무자 사고 원인 분석에 나타나는 자의성(한국학연구

69, 2023)

 

이민성 건국대학교 박사수료

조선군사령관 우쓰노미야 다로의 눈에 비친 31운동(31운동 1004, 2019), 1928년 식민

지 조선 병비충실 운동의 추이와 그 성격(한국문화97, 2022), 1920년대 조선군 항공부대의 설

치와 지역사회(한국독립운동사연구83, 2023)

 

주동빈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일제하 서평양시가계획(1929~1935)과 조선인 중소공장지대 조성(역사연구50, 2024),

선총독부 4대 도시계획서(1930~1931)對岸 市街 치수(한국사학보95, 2024), 1927년 평양

전기 부영화와 조선인 주도 부 예산정치로의 전환(역사문제연구52, 2023)

도서 소개

이 책은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경제편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3권으로 항만과 도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인프라로서의 항만과 도로는 일제 강점기에 정비 되었는데 그 목적이 한반도의 자원 공급기지로서의 확충과 대륙 침략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을 정리하고 있다. 당시 법령, 정책 자료 등을 통해 계획과 운영, 기반 구축을 위해 동원된 식민지민의 실태와 반응 등을 고찰함으로써, 일제강점기의 산업기반 시설의 전개 양상과 실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차례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 서문

 

1부 항만

I 관련 신문기사

해제

1 일제의 대륙 침략과 항만 건설

2 항만 무역과 미곡 유출

3 항만 노동자와 파업

 

II 실행 계획과 내용

해제

1 1910~1920년대 식민지 무역 구조의 형성과 항만 건설

2 1930년대 초 · 중반 일제의 대륙 침략과 북선 지역의 항만 개발

3 1930년대 후반 이후 식민지 조선의 병참기지화와 전시 물자 수송을 위한 항만 확충

 

III 관련 법령

해제

 

IV 실행 결과

해제

 

2부 도로

관련 신문기사

해제

1 도로 용지 수용과 토지 소유자에 대한 강제적 비용 전가

2 도로의 위치와 지역 · 민족 간 차별

3 도로 건설 부역과 조선인의 저항

 

실행 계획과 내용

해제

1 1~2기 치도사업

2 북선개척사업과 궁민구제사업의 도로 건설

3 도로를 이용한 전시 물자의 공급과 금 수탈

 

관련 법령

해제

실행 결과

해제

 

참고문헌

자료목록

찾아보기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