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총서
발해사 자료총서 일본사료편 권1
  • 작성일2025.03.17
  • 조회수500

자료청서 62 발해사자료총서 일본사료편 권1

발해사 자료총서 일본사료편/1

 

 

o 저자

권은주, 김종복, 김진한, 위가야, 정동준, 장미애

o 사양

46배판 | 528

o 분류

동북아역사 자료총서 62

o 정가

32,000

o 발간일

20241226

o ISBN

979-11-7161-153-9

 

 

 

저자

 

편찬책임자

권은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문자자료를 활용한 발해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검토-위준, 효의황후, 순목황후, 진만 묘지명을 중심으로-(嶺南學88, 2024), 유인식의 대동사(大東史)에 보이는 대동과 발해 인식(東北亞歷史論叢81, 2023), 발해사 자료총서-중국사료 편1(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3), 발해사 자료총서-한국사료 편12(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김종복 안동대학교 교수

발해 <함화 11년 중대성첩>의 재검토(고구려발해연구79, 2024), 유득공의 사군지연구-서명 변경과 저술 목적을 중심으로(대동문화연구125, 2024), 정본 발해고(책과함께, 2018), 발해정치외교사(일지사, 2009)

 

김진한 경북대학교 강사

고구려사에 보이는 政變과 역사적 의미(한국고대사탐구46, 2024), 8세기 신라의 대발해(對渤海) 인식 변화와 그 배경: 북적(北狄)에서 북국(北國)으로(한국학171, 2023), 무왕대 발해당 전쟁에 대한 재인식(한국문화99, 2022),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0)

 

위가야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우리시대의 가야사(공저, 주류성, 2024), 한국고대사 시대 설정에서의 가야사 위상 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사림83, 2023), 근대전환기 역사 교과서의 가야사 인식과 식민주의 역사관(역사와 현실130, 2023), 「『일본서기소재 임나4기사의 재해석(지역과 역사48, 2021)

 

정동준 국민대학교 교수

북위와 고구려의 사례를 통해 본 책봉의 의미(한국사연구202, 2023), 古代東アジアにおける法制度受容硏究(早稻田大學出版部, 2019), 한국 고대사 관련 동아시아 사료의 연대기적집성(공저, 주류성 2018), 譯註 日本古代外交文書(공저, 八木書店, 2014), 동아시아 속의 백제 정치제도(일지사, 2013)

 

장미애 가톨릭대학교 강사

백제의 유학 수용과 論語 木簡(동서인문24, 2024), 東城王代 정치상황과 苩加의 난(韓國古代史硏究111, 2023), 「『일본서기(日本書紀)응신기(應神紀)의 성격과 5세기 전반 백제-왜 관계의 이해(역사와 현실120, 2021)

 

도서 소개

 

이 책은 일본사료 가운데 발해사 관련 사료를 번역하고 주석한 자료집이다. 동북아역사재단의 전신인 고구려연구재단은 2004년 발해사 관련 한국중국일본 사료의 원문을 모아 발해사 자료집()을 간행하였다. 이 자료집은 삼국에 흩어져 있던 발해사 사료를 한자리에 모아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그럼에도 원문 사료만을 제시하여 한문을 독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재단에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대중적인 발해사 자료집을 만들기 위해 사료 역주를 포함한 발해사 자료총서를 기획하였다. 이 책은 일본사료 편으로 한국사료 편과 중국사료 편에 이은 세 번째 결과물이다. 이 책에 수록된 일본사료는 모두 26종으로 사료는 크게 일본 국왕의 칙명 등으로 편찬한 관찬 사료(8)와 개인이 쓰거나 편집한 사찬 사료(18)로 나뉜다. 사료의 성격은 편년체로 이뤄진 정식 사서류 외에도 유서, 법령사례집, 견문록, 시문집, 전기, 문서집, 군담록 등 발해사를 이해하고, 과거 일본인들의 발해사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자료를 포함하였다. 이 책은 수수께끼의 역사로 여겨졌던 발해사를 읽고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차례

 

서문

일러두기

 

1. 속일본기(續日本紀)

2. 일본후기(日本後紀)

3. 속일본후기(續日本後紀)

4. 일본문덕천황실록(日本文德天皇實錄)

5. 일본삼대실록(日本三代實錄)

6. 유취국사(類聚國史)

7. 일본기략(日本紀略)

8. 일본일사(日本逸史)

9. 부상략기(扶桑略記)

10. 정사요략(政事要略)

11. 유취삼대격(類聚三代格)

12.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13. 도씨문집(都氏文集)

14. 경국집(經國集)

15. 편조발휘성령집(遍照發揮性靈集)

16. 문화수려집(文華秀麗集)

17. 능운집(凌雲集)

18. 고야잡필집(高野雜筆集)

19. 고야대사광전(高野大師廣傳)

20. 관가문초(菅家文草)

21. 부상집(扶桑集)

22. 강담초(江談抄)

23. 전씨가집(田氏家集)

24. 본조문수(本朝文粹)

25. 조야군재(朝野群載)

26. 장문기(將門記)

 

참고문헌

찾아보기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