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기 국제정세와 고구려– 수·당 전쟁 | ||
|
| |
o 저자 | 김현숙, 이정빈, 정동민, 이성제, 정호섭, 임기환, 여호규, 심광주 | |
o 사양 | 신국판 | 407쪽 | |
o 분류 | 고구려통사 6 | |
o 정가 | 30,000원 | |
o 발간일 | 2023년 11월 30일 | |
o ISBN | 979-11-7161-018-1 | |
|
| |
| ||
저자 | ||
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 『고구려의 왕과 왕자들』(동북아역사재단, 2019), 『고구려 남자, 고구려 여자』(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중 역사갈등의 현황과 과제–동북공정을 넘어 미래로」(『동북아역사논총』 77, 2022), 「박물관 전시를 통해 본 중국의 고구려사 인식」(『고구려발해연구』 71, 2021), 「고구려 초기 王城의 위치와 國內 遷都」(『선사와 고대』 54, 2017), 「集安高句麗碑의 건립시기와 성격」(『한국고대사연구』 72, 2013)
이정빈 충북대학교 역사교육과 부교수 『동북아 정세와 고구려 역사문화』(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한중관계사상의 교역과 교통로』(공저, 주류성, 2019), 『고구려–수 전쟁: 변경 요서에서 시작된 동아시아 大戰』(주류성, 2018), 「양맥·숙신의 難, 변경에서 본 3세기 후반 동아시아와 고구려」(『한국사연구』 187, 2019)
정동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고대 동아시아 최대의 충돌, 고구려-수 전쟁』(신서원, 2022), 『중국 소재 고구려 유적과 유물(I~X)』(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2022), 「三國時期 七重城에 대한 諸檢討와 戰略的 位相」(『軍史』 129, 2023), 「4세기 후반 高句麗의 南方 接境과 廣開土王의 對百濟戰 水軍 운용」(『한국고대사탐구』 38, 2021)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譯註 中國正史 東夷傳2: 晉書~新五代史(高句麗·渤海)』(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고대 동아시아 석각자료연구』(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18), 「고구려의 對唐防禦體制와 645년 전쟁」(『韓國古代史硏究』 109, 2023), 「榮留王의 王權 강화와 淵蓋蘇文 政變: 高乙德일가의 官歷을 통해 본 영류왕대 政局」(『韓國古代史硏究』 104, 2021)
정호섭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나당연합군의 백제 침공과 고구려의 대응」(『선사와 고대』 72, 2023), 「唐의 喪葬令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유민의 喪葬禮」(『한국고대사연구』 104, 2021), 「고구려 안시성의 위치와 안시성주 전승의 추이」(『고구려발해연구』 67, 2020)
임기환 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고구려와 수·당 70년 전쟁』(동북아역사재단, 2022), 「고구려 멸망기 신라의 군사활동」(『한국사학보』 90, 2023), 「고구려와 당 최후의 전쟁 과정 복원 시론」(『한국사학보』 86, 2022), 「한국사 교과서 서사의 비판적 전망」(『역사교육논집』 80, 2022), 「桂婁部의 성립과 國內 遷都 試論」(『역사문화연구』 77, 2021)
여호규 한국외국어대학교 사학과 교수 『시간이 놓친 역사, 공간으로 읽는다』(푸른역사, 2023),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고대 편)』(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국고대사(1)』(공저, 푸른역사, 2016),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신서원, 2014), 『삼국시대 고고학개론1(도성과 토목 편)』(공저, 진인진, 2014), 『삼국지 동이전의 세계』(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高句麗 城』 I~II(국방군사연구소, 1998~1999)
심광주 한국성곽연구소 소장 『연천의 고구려』(진인진, 2023), 『백제 왕도』(공저, 문화재청, 2022), 『가야인의 기술』(공저,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21), 『통일신라 고고학 개론』(공저, 진인진, 2019), 『한국 전통시대의 토목문명』(공저, 들녘, 2019), 『아라가야의 전환기, 4세기』(공저, 도서출판 선인, 2019), 『숲과 역사가 살아있는 남한산성』(공저, 경기문화재단, 2010), 『경기도의 성곽』(공저, 경기문화재단, 2003) | ||
도서 소개 | ||
고구려사는 한국고대사에서 지난 10년간 가장 큰 변화상을 보였던 분야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초기 기사를 적극 활용하여 고구려사 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이 새롭게 모색되었으며, 정치사와 대외관계사를 중심으로 연구주제가 세분화되고 다양해지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고고학에서는 북한의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개설적인 정리를 시도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중국에 남아 있는 고구려 고고자료가 소개되고 임진강 이남의 한반도 중부지역에서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가 늘어나면서 고분벽화·고분·토기 등 여러 분야에서 독자적인 연구성과물이 나오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고구려통사』 발간은 이러한 고구려사 연구성과를 충실하게 정리하여 학계와 일반에게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에 막 입문한 이들에게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침서가 되고, 역사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는 고구려의 새로운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희망한다. | ||
차례 | ||
책머리에 · 5
1. 고구려와 수의 전쟁 1장 수의 등장과 고구려의 대응_ 김현숙 1) 수 건국 이전 요서 지역의 상황 · 15 2) 수의 건국과 고구려의 상황 변화 · 21 3) 수의 중원 통일과 영주총관부의 설치 · 29 2장 고구려·수의 갈등 심화와 주변국의 동향_ 이정빈 1) 598년 영양왕의 요서 공격과 배경 · 45 2) 주변국의 동향과 갈등의 심화 · 55 3) 양국의 전쟁 결정과 국지전의 개시 · 64 3장 고구려의 수군 격퇴와 그 영향_ 정동민 1) 612년 수의 고구려 원정 준비 · 82 2) 612년 고구려-수 전쟁 · 94 3) 613~614년 고구려-수 전쟁 · 104
2. 고구려와 당의 전쟁 4장 당의 등장과 국제정세의 변동_ 이성제 1) 수 말의 혼란과 당의 재통일 · 125 2) 당의 재통일을 전후한 시기 동아시아 국제정세 · 133 3) 고구려의 대당정책과 당의 대응 · 145 5장 연개소문 정변과 동아시아 국제정세_ 정호섭 1)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동향 · 162 2) 연개소문 가문과 정변 · 172 3) 연개소문 정권과 고당전쟁의 배경 · 182 6장 고구려-당 전쟁의 전개_ 임기환 1) 당의 고구려 원정 선포와 원정군의 규모 · 203 2) 고구려-당 전쟁의 개시와 전개 · 212 3) 당의 고구려 공격전략 변화와 재원정 준비 · 239
3. 고구려의 군사방어체계와 수·당과의 전쟁 7장 고구려 군사방어체계의 역사적 변천_ 여호규 1) 졸본·국내성기 도성의 구성과 군사방어체계 · 256 2) 1~4세기 전쟁 양상과 군사방어체계의 변천 · 262 3) 평양 천도와 군사방어체계의 재구축 · 270 8장 요동 지역의 군사방어체계와 천리장성_ 여호규 1) 성곽의 분포현황과 군사방어체계의 구성 · 301 2) 수·당과의 전쟁에 나타난 군사방어체계의 운용 양상 · 318 3) 천리장성의 경로와 축조 배경 · 332 9장 한반도 서북한 지역 성곽 분포와 방어체계_ 심광주 1) 압록강에서 평양까지의 성곽 분포와 방어체계 · 356 2) 임진강에서 평양까지의 성곽 분포와 방어체계 · 371 3) 임진강 이남 지역의 성곽 분포와 방어체계 · 386
찾아보기 · 3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