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음식문화사 | ||
|
| |
o 저자 | 구도영, 정연식, 박채린, 정희정, 정혜경, 차경희, 박유미 | |
o 사양 | 신국판 | 433쪽 | |
o 분류 | 연구총서 140 | |
o 정가 | 38,000원 | |
o 발간일 | 2023년 11월 30일 | |
o ISBN | 979-11-7161-017-4 | |
|
| |
| ||
저자 | ||
구도영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16세기 한중무역 연구』(태학사, 2019), 「15세기 중국에서 유행한 조선의 마미군 패션, 그 문화적 변용에 대하여」(『사림』 80, 2022), 「근세 동아시아 세계 약용식물 인삼(人蔘)의 가공과 유통」(『의사학』 29-3, 2021), “Items of Tributary Gifts (Pangmul 方物) Sent to the Ming Dynasty by Chosŏn and their Changing Trends”(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6-2, 2021)
정연식 서울여자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 『일상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 1·2』(청년사, 2001), 『영조 대의 양역정책과 균역법』(한국학 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경주 첨성대의 기원』(주류성, 2023), 『조선시대 울릉도와 독도의 우리말 이름들』(주류성, 2023), 『전통사회와 생활문화』(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공저),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청년사, 1996, 공저)
박채린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책임연구원 『조선시대 김치의 탄생』(민속원, 2013), 『통김치, 탄생의 역사』(민속원, 2013), 『K FOOD 한식의 비밀』(디자인하우스, 2021, 공저), 『김치, 한국인의 흥과 한』(세계김치연구소, 2016, 공저), 『한국 종가의 내림발효 음식』(쿠켄, 2015, 공저), 「18세기 호남 조리서 <음식보> 재판독 및 해석」(『한국학』 제 46권 3호, 2023), 「조선전기 조리서의 김치명칭 차자(借字)표기 연구」(『민족문화』 제61집, 2022) 정희정 한국미술연구소 책임연구원 『18세기의 방』(문학동네, 2020, 공저), 『조선시대 왕실 제사에 바친 떡과 과자-『태상지』 기반으로』(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공저), 「삼계탕(蔘鷄湯)의 연원과 발달 배경에 관한 연구」(『동북아역사논총』80, 2023), 「『본초강목(本草綱目)』이 조선 후기 과도(果圖)에 끼친 영향」, 『미술사논단』55, 2022)
정혜경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명예교수 『천년한식견문록』(생각의 나무, 2009), 『밥의 인문학』(따비, 2015), 『채소의 인문학』(따비, 2017), 『고기의 인문학』(따비, 2019), 『바다음식의 인문학』(따비, 2021), 『발효음식 인문학』(헬스레터, 2021), 『옛 그림 속 술의 맛과 멋』(세창미디어, 2017), 『조선왕실의 밥상』(푸른역사, 2018), 『통일식당 개성밥상』(들녘, 2021), 『한국인에게 장은 무엇인가』(효일, 2013, 공저)
차경희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교수 『한국문화의 풍경』(공저, 종이와나무, 2022), 『K-FOOD, 한식의 비밀』(공저, 디자인하우스, 2021), 『혜경궁홍씨 회갑연 원행을묘정리의궤』(공저, 교문사, 2021), 『음식과 세계문화』(공저, 파워북, 2020), 『음식디미방과 조선시대 음식문화』(공저, 경북대학교출판부, 2017), 『1882년 왕세자 관례발기』(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 『주식방문』(편저, 교문사, 2017), 『18세기의 맛』(공저, 문학동네, 2014)
박유미 한국체육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강사 『고구려 음식문화사』(학연문화사, 2017), 『한국 고대 음식문화사』(학연문화사, 2020, 공저), 「고려시대 육류 소비 풍속과 그 實際」(『한국민속학』제76집, 2022), 「사회문화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일제강점기 청량음료의 양상과 실제」(『한국민속학』제75집, 2021), 「고대사회에서 소가 갖는 사회경제적 위상」(『한국민속학』제74집, 2021), 「술 제조법과 사회적 기능을 통해 살펴본 고구려의 술 문화」(『지방사와 지방문화』제23권 1호, 2020) | ||
도서 소개 | ||
음식문화는 각 지역의 정체성을 품고 있어 지역과 사회, 국가를 표현할 수 있는 주요한 상징이다. 예로부터 한국인은 유달리 먹는 것을 중시한 민족으로, 풍족하게 먹는 것에 관대했고, 많이 먹었으며, 음식과 관련된 속담도 많다. 즉 음식문화야말로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주제이다. 이 책은 밥, 김치, 국물, 채식, 육식, 장, 약재 등 7가지 주제를 통해 한국 음식문화의 특징을 살펴본다. 특히 근래 중국과 문화 원조 논란이 있는 김치, 쌈, 삼계탕을 다루어 이들 음식에 담긴 한국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한다. 한국 음식은 한국의 자연환경과 기질, 문화 교류와 경제, 정치, 사회적 특징이 오랫동안 켜켜이 쌓여 다져진 한국의 문화이자 역사이다. 이 책이 한국 음식문화의 양상에 관한 관심과 논의를 불러일으키는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 ||
차례 | ||
1. 한국인의 밥과 쌀_ 정연식 · 14
2. 한국 발효음식의 진수(眞髓), 김치의 탄생과 진화_ 박채린 · 64
3. 한국의 국물문화와 삼계탕_ 정희정 · 128
4. 다채로운 나물문화의 형성과 특징_ 정혜경 · 180
5. 한국 육식문화의 시대적 추이_ 차경희 · 242
6. 우리나라 장문화의 발달과 추이_ 박유미 · 296
7. 동아시아에서 한국 인삼의 위상과 의미_ 구도영 · 364
찾아보기 · 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