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침탈사
재정·금융정책(1) -대한제국기 일제의 재정 및 금융 침탈
  • 작성일2023.06.26
  • 조회수818

 

표지

재정·금융정책(1)


-대한제국기 일제의 재정 및 금융 침탈

    

    

o 저자

김명수 조명근

o 사양

양장본 | 784

o 분류

일제침탈사 자료총서40

o 정가

43,000

o 발간일

2022 1220

o ISBN

978-89-6187-784-8

o 구입처

교보문고인터파크알라딘 등

    

    

    

저자

김명수 계명대학교 일본어일본학과 부교수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박사. 주요 논저로 日本帝国崩壊:移動地域社会変動(柳澤遊·倉澤愛子 編著, 慶應義塾大學出版會, 2017), 일제강점기 미구락부(米俱樂部)와 연시장(延市場)에 관한 연구-소위 '인취문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일본연구88, 2021) 등이 있다.

    

조명근 영남대학교 역사학과 부교수

고려대학교 문학박사. 주요 논저로 일제강점기 화폐제도와 금융(동북아역사재단, 2022), 대한제국기 중앙은행 제도의 도입과 변용(동방학지196, 2021) 등이 있다.

도서 소개

일본 제국주의가 한국 경제를 식민지적으로 재편하고자 할 때 가장 신경을 많이 쓴 부분은 한국 경제를 강제로 재편하여 자신들의 금융체계에 종속시키는 것이었다. 이 자료집은 일본 제일(국립) 은행 부산지점, 한국은행 등 각종 금융기관의 설립 과정, 재정고문 메카타 다네타로의 화폐정리사업과 재정정리사업 및 그 활동상을 잘 보여줄 수 있는 자료들을 모아 편역하였다. 일제가 조선을 침탈하기 위해 수립한 일본에 종속된 화폐금융제도의 전개 과정을 통해 일제가 한국 금융을 어떻게 장악해 갔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차례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서문

<전체해제>

1부 대한제국기 한국 금융의 식민지적 재편 : 한국에 있어서 제일은행(1908)

1장 한국에 있어서 제일은행의 연혁

2장 한국 해관세 취급

3장 한국 화폐 정리 전말

4장 한국 정부 대상금

5장 은행권 발행

6장 일본중앙금고 파출소 사무 취급

7장 한국 공채 인수

8장 한국 국고금 취급

9장 한국 중앙은행으로서의 제일은행

10장 한국 산출 지금은 수납(輸納)

11장 한국 금융기관

2부 대한제국기 식민지 경제침략의 주역 : 남작 메카타 다네타로(1938) 8장 한국 재정고문 시대

1절 한국 부임과 재정통일 방침

2절 궁중과 부중의 혼동 정리

3절 폐제 확립과 화폐 정리

4절 금고제도 수립과 세계 정리및 국채

5절 금융계 구제

6절 세제개혁

7절 세관

8절 해정 정리

9절 토지 정리

10절 재정이외의 시설

3부 한국 근대 중앙은행 설립 관계 자료 : 대한제국기 화폐금융제도와 조선은행법 제정 자료

I 대한제국기 근대적 화폐 금융제도 수립

<해제>

1 대한특립제일은행장정 및 정관

2 중앙은행조례(1903324일 칙령 제8)

3 태환금권조례(1903324일 칙령 제9)

4 중앙은행태환금권 양조례 문의

5 신문 기사

II 통감부기 한국 중앙은행 설립 관계 문서

<해제>

1 한국 중앙은행 설립 준비 관계 자료

2 한국은행 설립 관계 문서

3 신문 기사

조선은행법 제정 관계 서류

<해제>

4

일제의 금융 침탈과 재조 일본인 언론의 원조

I 한성신보관련 자료

<해제>

II 조선협회 회보

<해제>

1 한국 화폐 문제 조사자료

2 한국 화폐의 연혁

3 한국 백동화 유래및 남발의 사정

4 일한은행 설립안

자료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재정·금융정책(1) -대한제국기 일제의 재정 및 금융 침탈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