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침탈사
재만조선인 통제(3) -'만주사변(9.18)'시기 재만조선인 정책 자료집
  • 작성일2023.06.14
  • 조회수725

 

표지

재만조선인 통제(3)


-‘만주사변(9.18)’시기 재만조선인 정책 자료집

    

    

o 저자

김주용 이명종

o 사양

양장본 | 510

o 분류

일제침탈사 자료총서77

o 정가

30,000

o 발간일

2022 1230

o ISBN

978-89-6187-782-4

o 구입처

교보문고인터파크알라딘 등

    

    

    

저자

김주용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조교수

동국대학교 문학박사. 한국독립운동과 만주 : 이주, 정착, 저항의 점이지대(경인문화사, 2018), 만주지역 친일단체(역사공간, 2014), 대한독립대장정(선인, 2021), 일제의 간도 경제침략과 한인사회(선인, 2008) .

    

이명종 강릉원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한양대학교 문학박사. 대한제국기 간도영토론의 등장과 종식(동아시아문화연구54, 2013), 17·18세기 조선에서 만주=고토의식의 출현과 전개(동아시아문화연구58, 2014), 1910년대 조선 농민의 만주 이주와 매일신보등에서의 만주식민지(한국근현대사연구78, 2016), 새로운 현대 역사학의 명저들(번역, 한양대학교출판부, 2016)

    

도서 소개

이 자료집은 만주 지역의 일제침탈사 가운데 조선인과 관련된 부분을 집중적으로 정리하였다. 1931918일 제국주의 일본 관동군은 대륙침략을 위한 본격적인 전쟁을 개시하 였다. 이른바 만주사변의 서막이 시작된 것이다. ‘만주사변은 동북아 지역의 정치 및 경 제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만주 지역 이주 한인 관련 정책도 그 기조가 변하기 시작하였 다. 뿐만 아니라 일제의 만주 침략이 본격화될수록 만주 이주 조선인 사회의 모순도 크게 심화되었다. 이 자료집은 만주사변과 그 시기 관련 사건들로 인한 재만 조선인 사회의 변 화상을 보여주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들을 선별하여 수록하였다.

차례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 서문

만보산 사건

<해제>

1 만보산 사건의 배경과 원인

2 만보산 사건의 경과

3 만보산 사건에 대한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내외 인식과 대응

4 만보산 사건에 대한 중국 공산당 만주성위의 인식과 대응

II ‘만주사변과 이주조선인 피해

<해제>

1 만주사변의 원인

2 만주사변 경과

3 만주사변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한국독립운동계의 동향

4 만주사변과 이주조선인 피해현황

III ‘만주사변시기 재만조선인문제

<해제>

1 조선총독부의 재만조선인 취체 정책

2 중국관헌의 재만조선인 박해 상황

IV ‘만주사변만주국에 반대하는 재만조선인

<해제>

1 일본정부의 재만조선인문제 방책

2 재만조선인문제에 대한 조선인의 대응

V 조선인 항일유격대와 일본군의 간도 토벌

<해제>

1 조선인 항일유격대의 성명

2 일본군의 간도 토벌'

VI 민생단의 성립과 해산

<해제>

1 민생단의 성립

2 민생단의 활동

3 민생단과 반민생단투쟁

자료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재만조선인 통제(3) -'만주사변(9.18)'시기 재만조선인 정책 자료집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