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총서
고구려의 문자문화
  • 작성일2023.06.07
  • 조회수1045

 

표지 

고구려의 문자문화

    

    

o 저자

고광의

o 사양

46배판 | 620

o 분류

연구총서 137

o 정가

55,000

o 발간일

2023 224

o ISBN

978-89-6187-795-4

    

    

    

저자

 

고광의(高光儀)

원광대학교 서예과를 졸업하고 중국 中央美術學院에서 문학석사(4~7世紀高句麗壁畵墓墨書銘

書法硏究), 중국 延邊大學에서 역사학박사(6~7世紀新羅書法硏究) 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강의교수,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객원교수 등을 역임하였고 고구려연구재단 설립 초기에 입사하여 현재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忠州高句麗碑(2021, 동북아역사재단), 문자와 고대 한국 1(2019, 주류성), 한국서예사(2017, 미진사), 혜정 소장본 廣開土太王碑 원석탁본(2015, 동북아역사재단), 광개토왕비의 재조명(2013,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의 역사와 문화(2007,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의 문화와 사상(2007, 동북아역사재단), 고구려 문명기행(2005, 고구려연구재단), 다시 보는 고구려사(2004, 고구려연구재단) 등의 공저가 있다.

논문은 고구려 卷雲명문 와당 연구(2022, 木簡文字29), 集安 출토 고구려 銘文塼 고찰(2022, 白山學報124), 남한 출토 고구려 토기 명문 연구(2021, 木簡文字27),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문 재검토(2020, 韓國古代史硏究98), 고구려 초기의 書寫文化

(2016, 白山學報106),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형태와 書體(2013, 高句麗渤海硏究45),廣開土太王碑書體(2012, 白山學報94), 樂浪郡 初元 四年 戶口簿 재검토(2011, 木簡文字7), 浦項 中城里新羅碑 書體古新羅 문자생활(2010, 新羅文化35), 6~7세기 新羅木簡書體書藝史的 의의(2008, 木簡文字創刊號),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書寫관련 내용 검토(2004, 高句麗渤海硏究45), 5~6세기 新羅 書藝에 나타난 외래 書風의 수용과 전개(2004, 書藝學硏究4), 5세기 高句麗 書藝의 특징 硏究(2001, 書藝學2), 4~7世紀 高句麗 壁畵古墳 墨書書藝史的 意義(1999, 高句麗硏究7) 60여 편을 발표하였다.

도서 소개

    

고구려는 만주 벌판의 광활한 영역을 지배했던 강대한 나라이다. 그런 만큼 한국사에서 향수와 아쉬움을 주는 시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고구려에 대한 인식 기반을 제공하는 연구는 여전히 정치·사회사 중심의 분과학문 틀에 갖혀있어 당시 역사상을 온전히 그려내기에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 책은 고구려시대를 文字라는 키워드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고구려사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 심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필자는 국내외 사료에 대한 검토와 이해, 고고학적 발굴과 조사를 통해 축적된 문자자료와 고분벽화에 대한 종합적 분석, 그리고 관련 기록과 유물을 상호 비교하여 고구려시대의 문자문화를 구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역사학과 고고학뿐만 아니라 문자학, 서예학, 미술사학, 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과 통섭적 연구 방법을 모색하였다.

    

차례

들어가며

    

1장 고구려 초기의 문자문화 형성과 전개

1. 과의 교류와 문자문화 수용

2. 문자문화의 형성 기반

3. 문자문화의 활용과 확산

    

2장 고구려 고분벽화와 유물에 나타난 문자생활

1. 서사 도구 및 재료

2. 집필법과 서사 자세

    

3장 고구려의 立碑文字 활용

1. 고구려 의 형태와 판독

2. 고구려 의 성격과 전개 양상

3. 고구려 의 신라 전파

    

4장 고구려 금석문

1. 석각명

2. 금속기명

3. 불상명

4. 인장명

5. 와당명

6. 전명

7. 기와명

8. 토기명

    

5장 고구려 고분묵서

1. 고분묵서의 현황

2. 고분묵서의 편년

    

6장 고구려의 書體演變

1. 고구려 문자자료와 서체

2. 4세기 이후 고구려 서체의 변화 발전

나가며

도판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고구려의 문자문화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