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총독부의 상업·무역정책 | |
|
| |
o 저자 | 허영란·조재곤·송규진 | |
o 사양 | 신국판 | 534쪽 | |
o 분류 |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22 | |
o 정가 | 20,000원 | |
o 발간일 | 2022년 12월 30일 | |
o ISBN | 978-89-6187-791-6 | |
|
| |
|
| |
| ||
저자 | ||
허영란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했고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국사편찬위원회를 거쳐 현재 울산대학교 역사문화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한국구술사학회 회장, 역사문제연구소 이사(비상임) 등을 역임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일제시기 장시 연구: 5일장의 변동과 지역주민』(역사비평사, 2009), 『(울산 고래포구의 사람들)장생포 이야기』(울산광역시, 2012), 『남양과 식민주의: 일본 제국주의의 남진과 대동아공영권』(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울산항의 역사』(공저, 2015), 『동해포구사』(전3권, 공저, 민속원, 2021) 등이 있다.
조재곤 서강대학교 국제한국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국민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국민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를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한국근대사회와 보부상』(혜안, 2001), 『보부상: 근대 격변기의 상인』(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민영환: 대한제국의 마지막 숨결』(역사공간, 2014), 『전쟁과 인간 그리고 ‘평화’: 러일전쟁과 한국사회』(일조각, 2017), 『일제 식민지기 경성상공회의소 월보 기사해설』(공저, 온샘, 2018), 『고종과 대한제국: 황제 중심의 근대 국가체제 형성』(역사공간, 2020) 등이 있다.
송규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한국근현대사를 전공하고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공주대학교, 원광대학교 등에서 시간강사로 활동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교수(비교사연구센터장)이다. 저서로는 『일제하의 조선무역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1), 『한국무역의 역사』(공저, 청아출판사, 2011), 『중국 동북지역과 환동해지역의 관계성』(공저,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일제강점기 사회사업관계자료 해제』(공저, 아연출판부, 2019), 『신춘추오패: 패권과 탈패권 사이의 21세기 국제질서』(공저, 아연출판부, 2021) 등이 있다. | ||
도서 소개 | ||
이 책은 일제의 상업과 무역 정책에 대한 연구서다. 일본 제국주의의 한반도 식민통치와 관련해서 내재적발전론과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논의는 국내외 학계의 주요 쟁점 중 하나다. 그중 상업과 무역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한 연구는 식민지 산업화와 근대화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어 관심이 높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 이전의 한반도 경제와 자본 의 성장과 발전의 가능성, 식민지화 이후 무역구조와 관세, 식민지 기구 등을 시기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 책이 일제강점기 한반도와 일본과의 관계를 비롯하여 경제적인 측면에 서 한반도의 실태와 문제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
차례 | ||
발간사 편찬사
제1부 상업정책 머리말 제1장 시장 정책과 시장 상업의 변화 1. 시장 정책의 성격과 장시의 증가 2. 신식 시장의 설치 3. 장시의 구성원과 지역 주민운동
제2장 도시 상업의 전개 1. 식민지 도시상업의 특징 2. 서울의 시장 상업과 도매시장 및 경매시장 3. 도시 상업의 변화와 식민지적 특징
제3장 전시체제기 가격·배급 통제와 상업 조직 재편 1. 전시 총동원 체제하의 상업 통제 2. 가격 통제 3. 배급 통제
제4장 상업기구의 식민지적 재편과 상업회의소 1. 조·일 상업회의소의 청산과 통합 2. 「조선상업회의소령」 제정 공포 3. 상업회의소의 주요 활동
제5장 식민지 경제기구로서의 상공회의소 1. 식민 경제정책과 기구의 재구성 2. 만주사변·중일전쟁과 상공회의소 3. 조선인 자본가의 현실
제6장 전시체제기 상공회의소와 상공경제회 1.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상공회의소 2. 상공경제회로의 개편과 전시동원
맺음말 참고문헌
제2부 무역정책 머리말 제1장 ‘특별관세정책’ 실시와 ‘수탈적 무역구조‘의 형성(1910~1919) 1. 인도, 관동주, 만주국의 ‘특별관세정책 ’ 2. ‘특별관세정책’과 관세법규 3. 무역시장 편중과 ‘쌀·좁쌀 교환체제’의 형성
제2장 ‘관세동화정책’ 실시와 ‘수탈적 무역구조‘의 확립(1920~1931) 1. 베트남, 대만, 사할린, 남양군도의 ‘관세동화정책 ’ 2. ‘관세동화정책’과 ‘특례관세’ 3. 대일종속 심화와 ‘쌀·좁쌀 교환체제’의 확립
제3장 ‘관세전쟁’과 ‘수탈적 무역구조’의 부분적 변화(1932~1936) 1. 세계경제 블록화와 ‘관세전쟁’ 2. 공동통관제도 정비와 무역진흥정책 3. 수출입시장 ‘다변화’와 ‘쌀·좁쌀 교환체제’의 변화
제4장 전시무역통제정책 실시와 ‘수탈적 무역구조’의 동요(1937~ 1945) 1. 중일전쟁 발발과 전시무역통제정책 2. 국경관세특례 확대와 ‘대륙전진병참기지화’ 3. 엔블록 외 무역시장 ‘단절’과 ‘쌀·좁쌀 교환체제’의 동요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