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침탈사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정책
  • 작성일2023.04.26
  • 조회수847

 

표지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정책

    

    

o 저자

김태웅, 장세윤

o 사양

신국판 | 668

o 분류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40

o 정가

30,000

o 발간일

2022 12월 30

o ISBN

978-89-6187-779-4

    

    

    

    

    

저자

    

김태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부기록보존소 학예연구관과 군산대학교 조교수로 재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대한제국과 3·1운동(휴머니스트, 2022), 어윤중과 그의 시(아카넷, 2018), 신식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서해문집, 2017), 이주노동자, 그들은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왔나(아카넷, 2016), 국사교육의 편제와 한국근대사 탐구(선인, 2014),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6: 근대(가람기획, 2013), 한국근대 지방재정 연구(

카넷, 2012), 한국사의 이해(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등이 있으며, 박은식의 한국통사를 우리말로 풀었다. 논문으로는 일제강점기 김옥균 추앙과 위인교육(역사교육74, 2000), 1910년대 전반 조선총독부의 취조국·참사관실과 구관제도조사사업(규장각16, 1994),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의 규장각 관리와 소장 자료의 활용(규장각33, 2008), 일제하 관립전문학교의 운영 기조와 위상 변화(연희전문학교의 학문과 동아시아 대학, 혜안, 2016) 등이 있다.

    

장세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수석연구원

성균관대학교에서 만주(중국동북)지역 독립운동사 연구로 문학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독립기념관 연구원, 성균관대학교 연구교수, 동북아역사재단 수석연구위원·한일관계연구소장 등을 지냈으며,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이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저서로 중국 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명지사, 2005), 일제강점기(공저, 눈빛, 2010), 개화기와 대한제국(공저, 눈빛, 2012), 3·1운동과 대한민국임정부의 재조명2(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일제강점기 학살당한 한국인들(동북아역사재단, 2021),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사(선인, 2021), One Hundred Years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 History and Tasks(공저, PeterLang, 2015), 關東大震災朝鮮人虐殺(공저, 論創社, 2016)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일제의 경성제국대학 설립과 운영(한국독립운동사연구6, 1992), 경성제국대학의 한국인 졸업생과 고등문관시험(향토서울69, 2007) 등이 있다.

도서 소개

이 책은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분야에 대한 정책을 종합하여 정리하고 연구하였다. 식민 지 교육 정책은 식민통치의 중첩적인 성격과 양면성을 보여주는 분야로서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 정책은 문명화, 우민화, 자주성 등과 연계되어 있고, 통치와 정책을 평가하는 척도가 될 수 있어서 식민 당국이 신중하게 추진한 분야였다. 이 책에서는 19세기부터 해방 이후까지의 고등교육 정책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초·중등교육 정책 연구서와 함께 근대 한국의 민족교육의 전체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차례

    

발간사

편찬사

서론

    

1장 근대 고등교육의 연원과 전문학교의 부침

1. 19세기 말·20세기 초 근대 고등교육 시도와 전문학교의 등장

2. 자주적 고등교육의 좌절과 전문학교의 부침

    

2장 일제의 고등교육 정책 전환과 전문학교의 재등장

1. 조선교육령(1911)의 공포와 고등교육 정책의 이중성

2. 고등교육 수요의 증가와 관립 전문학교의 재등장

3. 사립 전문교육기관의 전문학교 전환과 학교 운영

4. 3·1운동 전야 조선인 전문학생의 정체성 동요와 식민지 고등교육 인식

    

3장 일제의 내선공학방침과 식민지 고등교육체제 구축

1. 2차 조선교육령(1922) 실시와 내선공학(內鮮共學)’ 방침

2. 조선인의 민립대학 설립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3. 전문학교의 대학승격 운동과 조선인 본위의 운영 개선 시도

4. 사립 전문학교의 고등교육체제 편입과 신설 전문학교의 증가

    

4장 경성제국대학전문학교 학사 운영의 난맥과 조선인 학생들의 동향

1. 경성제국대학의 학사 운영과 대학 자치의 난맥

2. 전문학교의 학사 운영과 학생들의 동향

3. 조선인 학생의 입학난과 졸업생의 진로

    

5장 전시하 고등교육기관 개편과 학생 동원

1. 전시 동원체제 구축과 고등교육 정책 변경

2. 고등교육기관 개편과 전시체제 학사 운영

3. 고등교육기관의 위상 하락과 학생 동원징병

    

6장 식민지 고등교육의 유산과 현대 한국 사회

1. 식민지 고등교육의 청산 문제와 대학 설립운동

2. 식민지 고등교육의 단절과 연속

    

보론 조선총독부의 일본 유학제도 운영과 조선인 유학생 통제

1. 도일(渡日) 유학생의 추이와 동향

2. 조선총독부일본 당국의 감시와 통제

    

결론 일제 고등교육 정책의 성격과 그 영향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일제강점기 고등교육 정책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