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위안부’ 문제 자료집(Ⅳ) 국제연맹 동양여성아동매매실지조사단과 일제의 인신매매 문제 | |
|
| |
o 저자 | 박정애, 강혜정, 박혜란 | |
o 사양 | 46배판 | 680 쪽 | |
o 분류 |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98 | |
o 정가 | 30,000원 | |
o 발간일 | 2022년 12월 20일 | |
o ISBN | 978-89-6187-775-6 | |
o 구입처 | 교보문고, 인터파크, 알라딘 등 | |
|
| |
| ||
저자 | ||
박정애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주요 논저로 「식민지 조선의 ‘수양녀’ 문제와 인신매매」(『역사연구』 44, 2022), 「교차하는 권력들과 일본군‘위안부’ 역사: 램지어와 역사수정주의 비판」(『여성과 역사』 34, 2021), 「총동원체제기 식민지 조선에서 정신대와 위안부 개념의 착종 연구: 정신대의 역사적 개념 변천을 중심으로」(『아시아여성연구』 59, 2020), 『함께 쓰는 역사, 일본군‘위안부’』(동북아역사재단, 2020) 등이 있다.
강혜정 일본어 전문 통・번역가 주요 번역서로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위안부’ 문제 자료집Ⅰ: 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도항통제(번역· 해제 편)』(동북아역사재단, 2020),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 근현대사』(한중일 3국 공동역사편찬위원회, 휴머니스트, 2012), 『일본의 군‘위안부’ 연구』(일본의 전쟁책임자료센터, 동북아역사재단, 2011) 등이 있다.
박혜란 파시클출판사 대표, 영어 번역가 주요 번역서로 『절대 돌아올 수 없는 것들』(파시클, 2020), 『젠더와 민족』(그린비, 2012), 『플롯 찾아 읽기: 내러티브의 설계와 의도』(강, 2011), 『흑설공주 이야기: 세상의 모든 딸들을 위한 동 화 1, 2』(뜨인돌, 2002; 2005)가 있다.
| ||
도서 소개 | ||
이번에 발간하는 자료집에서는 1930년대 초반 국제적인 시각으로 일본 성관리 정책의 실태와 성격을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국제연맹 여성‧아동 매매 실지조사단의 조사 내용과 보고서 그리고 이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 관련 내용을 담았다. 국제연맹은 일본의 공창제가 바로 인신매매 제도라고 지적했으며, 이러한 국제사회의 평가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일본은 일본의 공창제가 지닌 노예적, 인신매매 제도로서의 성격을 면피할 수 있는 대응 논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아시아‧태평양전쟁을 도발하고 일본군‘위안부’ 제도를 운용하면서 ‘공인과 은폐’의 속성을 지닌 국가관리 성동원 시스템을 만들어 냈다. 따라서 이 자료집에 실린 주제와 내용은 일본군‘위안부’ 제도 시행의 배경에 대한 이해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해 온 30년이 넘는 시간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자료 발굴’과 자료집 발간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소식을 접해 왔다. 그동안의 수고와 노력이 없었다면 이 자료집 시리즈는 기획조차 어려웠을 것이다. 따라서 이 자료집의 발간도 그동안의 성과에 빚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
차례 | ||
발간사 머리말 일러두기 해제 국제연맹 동양여성아동매매실지조사단과 제국 일본의 인신매매
I 국제연맹 동양여성아동매매실지조사단과 조선총독부 1. 동양 부인매매 조사전문위원회에 관한 건(1930. 9. 3.) 2.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의 사이공 방면에서 조사 상황에 관한 건(1931. 1. 20.) 3.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 일행에 관한 건(1931. 1. 29.) 4.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에 관한 건(1931. 2. 25.) 5.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에 관한 건(1931. 3. 4.) 6.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에 관한 건(1931. 3. 5.) 7.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에 관한 건(1931. 3. 6.) 8.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에 관한 건(1931. 3. 10.) 9. 연맹 부녀매매조사단의 당 지역 동정에 관한 건(1931. 3. 25.) 10. 연맹 부녀매매조사단의 방문에 관한 건(1931. 3. 31.) 11.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 여행 일정에 관한 건(1931. 3. 31.) 12.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 질문에 대한 회답서 송부의 건(1931. 4. 6.) 13.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의 조사 상황에 관한 건(1931. 4. 7.) 14. 국제연맹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에 관한 건(1931. 4. 21.) 15.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에 관한 건(1931. 5. 2.) 16. 국제연맹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의 마닐라 조사 상황에 관한 건(1931. 5. 7.) 17. 부인아동매매 조사위원에 관한 건(1931. 5. 15.) 18. 부인아동매매 조사위원에 관한 건(1931. 5. 18.) 19. 국제연맹 부녀자매매 조사위원의 동정에 관한 건(1931. 5. 22.) 20. 국제연맹 부녀자매매 조사위원의 동정에 관한 건(1931. 5. 26.) 21. 국제연맹 부인아동매매 조사위원 동정에 관한 건(1931. 5. 29.) 22.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에 관한 건(1931. 6. 4.) 23.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에 관한 건(1931. 6. 26.) 24. 국제연맹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에 관한 건(1931. 8. 4.) 25.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에 관한 건(1931. 8. 26.) 26. 국제연맹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의 만철부속지, 관동주와 조선 체재 중 일지(1931. 8. 27.) 27.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에 관한 건(1931. 10. 12.) 28.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회 질문에 대한 회답(조선 부분)(1931) 29.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회 질문에 대한 회답(타이완 부분)(1931) 30.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회 질문에 대한 회답(관동 부분)(1931) 31.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 질문집에 대한 회답(외무성 관계)(1931) 32. 동양 부인아동매매 실지조사위원회 질문집 요약번역(1930. 11.)
Ⅱ. 동양 여성아동매매 실지조사 보고서와 일본 정부의 대응 1. 동양 여성아동매매 확장 실지조사: 일본에 관한 보고(1932. 7. 31.) 2. 동양 여성아동매매 실지조사: 일본에 관한 보고에 대한 일본 정부의 의견서 3. 동양 부녀매매 실지조사 보고 심사위원회 경과 보고 송부의 건(1933. 1. 5.) 4. 동양 여성아동매매 조사위원회 보고서
Ⅲ. 관련 언론 보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