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시동원 기구와 제도(1) -총동원체제 관련 주요 법령 및 각의결정 등 | |
|
| |
o 저자 | 오일환, 정혜경, 허광무, 김종구 | |
o 사양 | 46배판 | 672 쪽 | |
o 분류 | 일제침탈사 자료총서 79 | |
o 정가 | 35,000원 | |
o 발간일 | 2022년 12월 15일 | |
o ISBN | 978-89-6187-752-7 | |
o 구입처 | 교보문고, 인터파크, 알라딘 등 | |
|
| |
| ||
저자 | ||
오일환 중앙대학교대학원 동북아학과 객원교수, ARGO인문사회연구소 대표연구위원 국제정치경제학 박사, 주요 논저로는 『전시 노동력 동원 번역자료집(1)』(동북아역사재단, 2021), 『죽어서도 쉬이 못 오는 귀향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의 귀환과 미귀환 문제』(동북아역사재단, 2021), 『일제강제동원, 정부가 중단한 진상규명』(공저, 선인, 2020) 등이 있다.
정혜경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대표연구위원 문학 박사, 주요 논저로는 일제하 재일한국인의 민족운동 - 大阪지방을 중심으로(박사논문, 1999),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연표(도서출판 선인, 2018), 조선 민중이 체험한 ‘징용’ (동북아역사재단, 2021), 항일과 친일의 재일코리안운동(도서출판 선인, 2021), 『일제의 전시 조선인 노동력 동원』(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등이 있다.
허광무 일제강제동원&평화연구회 연구위원 경제학 박사, 주요 논저로는 『일제의 전시 조선인 노동력 동원』(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일 제강제동원, 정부가 중단한 진상규명』(공저, 선인, 2020), 『반대를 론하다 - ‘친일종족주의’의 역사 부정을 넘어』(공저, 선인, 2019), 『일본지역 강제동원 현장을 가다』(선인, 2019), 『일제 강제동원 Q&A①』(공저, 선인, 2015), 『일본제국주의 구빈정책사 연구』(선인, 2011) 등이 있다.
김종구 ARGO인문사회연구소 연구원 도쿄(東京)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오늘의교육』 편집위원, 국가기록원 「일제 강제동원 관련 명 부 조사·분석 연구」 및 외교부 연구용역 등에 다수 참여하였다
| ||
도서 소개 | ||
이 책은 학계와 일반 대중에게 일제 식민 지배의 구조와 총동원체제의 관계, 그리고 총동원체제하에서 인적 동원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사료로서 일제의 총동원체제와 강제동원 관련 법규, 제도 및 기구 등에 관한 자료를 번역하여 소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1931년 이후 1945년에 이르기까지 제정·공포된 총동원 관련 법령과 동원기구의 전반에 대한 개요와 특징 등을 살펴보고, 3개년 동안 총동원체제, 노무동원, 군인·군무원동원, 여성동원, 학생동원 관련 분야에 걸쳐 각각의 주요 법령과 각의결정, 그리고 기구와 조직 등에 관한 원문을 번역, 수록한다. 이 책은 그 첫 번째 작업으로 총동원체제 전반에 관한 법령과 각의결정에 대해서만 자료를 해제하고 원문을 번역, 수록하였다. 이 책에 수록된 각의결정과 법령 등이 향후 전시체제기 강제동원의 구조와 실체를 규명하는 데 토대가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더 많은 관련 제도와 법령 등에 관한 연구의 시금석이 되기를 고대한다. | ||
차례 | ||
발간사 편찬사 편역자 서문
I 총론 1 각 절의 구성과 용어 및 표현 2 국가총동원체제 3 조선에서의 총동원체제 적용과 전개
II 총동원체제에 관한 주요 법령 및 각의결정 등 1 총동원체제 관련 법령 및 각의결정 2 국민정신총동원 관련 각의결정 등 3 조선의 인신(人身)통제 관련 법령 4 중요산업 통제에 관한 법령과 각의결정 5 국방 및 치안에 관한 법령 등 6 국민동원계획 관련 법령 및 각의결정 7 언론,집회,결사 통제 관련 법령 8 방공 관련 법령 및 각의결정 9 결전비상조치 관련 각의결정 10 총동원체제 관련 신문기사
자료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