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침탈사
일제강점기 친일세력 연구
  • 작성일2023.03.13
  • 조회수843

 

표지  

일제강점기 친일세력 연구

-조선귀족·중추원·친일단체(1910~1937)를 중심으로-

    

    

o 저자

변은진·박한용·이용창

o 사양

신국판 | 548

o 분류

일제침탈사 연구총서 29

o 정가

30,000

o 발간일

2022 1230

o ISBN

978-89-6187-770-1

    

    

    

저자

 

변은진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HK교수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일제강점기 민중의 의식과 저항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 영남대 · 가천대 · 한국방송통신대 등 연구교수,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학술연구팀장, 일본 리츠메이칸대학 객원연구원 등을 거쳐 현재 전주대 HK교수로 있다. 주요 저서로 󰡔허헌 평전, 항일운동의 선봉에 선 인권변호사󰡕, 󰡔전시체제기 여론통제 (1)-기본구상과 방향󰡕, 󰡔일제 말 항일비밀결사운동 연구󰡕, 󰡔독립과 통일 의지로 일관한 신뢰의 지도자, 여운형󰡕, 󰡔자유와 평화를 꿈꾼 한반도인’, 이소가야 스에지󰡕,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역사인식󰡕 등 다수가 있다.

    

박한용 한중일대일로 연구부단장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일제강점기 반제동맹 조직운동 연구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 순천향대 · 한성대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대학원 강사,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 · 교육홍보실장 등을 거쳐 현재 한중일대일로 연구부단장으로 있다. 주요 논저로 1920년대 후반 국제반제동맹의 출범과 조선인 민족주의자들의 대응, 변준호 선생의 생애와 독립운동, 영주독립운동사(공저), 시와 이야기가 있는 우리 역사 1, 2(공저) 등 다수가 있다.

    

이용창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실장

중앙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 동학 · 천도교의 민족운동을 주제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앙대 · 인천전문대 · 경원전문대 등에서 한국사와 근대 독립운동 등을 주제로 시간강사를 지냈다.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원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얼룩진 과거사 진상규명에 동참해 왔고, 친일인명사전에 편찬위원으로 참여했다. 주요 논저로 화성 송산면 일대 3·1만세운동 참여자 재판 관련 기록의 분석과 활용방안, 세대 · 종교 · 이념을 아우른 민중의 지도자 권동진, 일제강점기 조선귀족수작 경위와 수작자 행태, 일제의 친일파 육성과 반민족 세력(공저), 왕조의 마지막 풍경(공저) 등이 있다.

도서 소개

    

이 책은 일제강점기 친일세력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일제강점기 친일세력은 일제 식민통치의 본질과 그 특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주제다. 지배자는 식민지 통치를 위해 민족분열정책을 사용하여 피지배자에 대한 안정적인 통치를 추구한다. 이러한 통치 방식의 결과는 식민지 통치를 경험한 사회가 독립하고 해방된 이후에도 복잡한 문제를 남기게 된다. 이 책은 이러한 복잡한 문제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하고, 식민지기를 4시기로 구분하여 정리함으로써 식민통치 본질의 이해와 변화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차례

    

발간사

편찬사

서론

1. 친일파란 무엇인가

2. 친일연구의 전개 과정과 현황

3. 이 책의 구성

    

1친일파의 개념과 범주

1. 19세기 말~일제강점기 친일세력에 대한 인식과 규정

2. 해방공간·1공화국 시기 친일파 규정

3. 친일인명사전과 반민족규명법의 친일파 규정

    

2장 일제 식민통치의 전개와 친일세력

1. 일제 식민통치의 성격과 시기 구분

2. 일제의 강점과 친일세력의 형성(1904~1919)

3. 일제의 민족분열정책과 친일세력의 분화(1919~1937)

4. 일제의 침략전쟁과 친일세력의 확대(1937~1945)

    

3장 조선귀족의 형성과 친일협력

1. 조선귀족의 형성 과정

2. 조선귀족의 선정과 수작자의 반응

3. 독립운동에 참여한 조선귀족

4. 조선귀족의 존재 양상과 현황(1910~1945)

5. 조선귀족의 단체 조직과 친일협력

    

4장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성립과 친일협력

1. 조선총독부 중추원 설치와 경제적 대우

2. 중추원 관제의 개정과 변화

3. 중추원 의관의 시기별 인적 구성과 특징

4. 중추원 의관과 해방 이후의 처분

    

5장 일제강점기 친일단체의 조직과 활동(1910~1937)

1. 무단통치기의 친일단체

2. 민족분열통치기의 친일단체

3. 일제의 만주침략 이후 친일단체

    

결론

1. 각 장의 내용 정리

2. 친일문제 연구의 의의

부록

연표

자료

참고문헌

찾아보기

    

일제강점기 친일세력 연구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