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총서
한국고대사 자료집 고조선・부여 편 Ⅴ-관찬사서
  • 작성일2023.02.14
  • 조회수927

 

    표지

한국고대사 자료집 고조선부여 편 -관찬사서

    

    

o 저자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편

o 사양

46배판 | 658

o 분류

동북아역사 자료총서 55

o 정가

32,000

o 발간일

2022 1220

o ISBN

978-89-6187-764-0

o 구입처

교보문고인터파크알라딘 등

    

    

    

저자

편찬책임자

박선미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소장

고조선과 고구려의 만남(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고조선과 고구려의 계승 관계 탐색(백산학보110, 2021) Antenna-Style Daggers in Northeast Asia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regional Interaction Asian Perspectives vol. 59-1. 2020. 중국 산동지역의 동이(공저, 역사공간, 2018) 서구학계의 고대 교류사 이론의 현황(한국고대사연구73, 2014) 고조선과 동북아의 고대 화폐(학연문화사, 2009)


번역자

최진욱 문원C&D 부설연구소 소장

최병채일기탈초 및 표점(국사편찬위원회, 2017~2020) 경복궁영건일기(공역, 서울역사편찬원, 2019) 박성원문집표점(국사편찬위원회, 2018) 공사기고(공역, 서울역사편찬원, 2017)


김남중 전남대학교 역사문화연구센터 학술연구교수

낙랑국의 실체와 낙랑 조선·낙랑군의 관계(고조선단군학47, 2022) 전북 지역 고조선 계승 의식의 형성과 확산 과정(고조선단군학48, 2022) 진국의 대한(對漢) 교역 추진과 고조선 지역 세력(인문학연구49, 2021) 삼국유사위만조선 관련 기록의 서술 의도(사학연구139, 2020) 점토대토기 문화의 확산과 고조선, 고구려, 한의 관계(선사와 고대64, 2020)

안악군 당장경 유적과 단군 전승(동북아역사논총65, 2019) 역주 고조선 사료집성 중국편(공저, 새문사, 2019)


자료 정리

최슬기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

만인만색 역사공작단(공저, 서해문집, 2021) 蒼海郡 위치비정의 쟁점과 전제(단군학연구44, 2021) 「『我邦疆域考역주·비평(1)-朝鮮考(한국사학보78, 2020) 衛滿朝鮮匈奴穢裘交易(先史古代52, 2017)

도서 소개

이 책은 한국고대사 자료집: 고조선·부여 편시리즈의 다섯 번째 결과물이다. 조선시대에 편찬된 관찬사서 가운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성록(日省錄)에 수록된 고조선단군부여 관련 사료를 모아 번역하였다. 이 자료들은 조선의 중앙정부에서 공식 간행되었다는점에서 당대 국가운영 속 고조선사 인식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단군과 기자에 대한 제사나 능묘 정비 논의 등 주로 국가 운영과 관련한 내용이 대부분이며, 고조선 관련 유적, 즉 정전의 여부나 기자가 받았다는 규()의 존재, 당시 관료들의 단군과 기자 관련 논의에 대한 기록도 있어서 당대에 고조선 논쟁이 상당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이 조선시대 관찬사서에 보이는 고조선사를 인식론적 측면에서 복원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차례

책머리에

일러두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태조실록

정종실록

태종실록

세종실록

문종실록

단종실록

세조실록

성종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명종실록

선조실록

선조개수실록

광해군일기

인조실록

효종실록

현종실록

현종개수실록

숙종실록

경종실록

영조실록

정조실록

순조실록

고종실록

순종실록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인조

효종

현종

숙종

경종

영조

정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순종

일성록(日省錄)

순조

철종

고종

 

한국고대사 자료집 고조선・부여 편 Ⅴ-관찬사서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