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70년의 역사와 과제 | |
|
| |
o 저자 | 도시환, 요시자와 후미토시, 아베 코키, 알렉시스 더든, 하라 키미에, 이성환 | |
o 사양 | 신국판 | 356쪽 | |
o 분류 | 연구총서 136 | |
o 정가 | 16,000원 | |
o 발간일 | 2022년 12월 20일 | |
o ISBN | 978-89-6187-763-3 | |
o 구입처 | 교보문고, 인터파크, 알라딘 등 | |
|
| |
| ||
저자 | ||
도시환(都時煥)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 『독도 영토주권과 국제법적 권원 Ⅲ』(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독도 영토주권과 국제법적 권원 Ⅱ』(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일본군‘위안부’ 문제와 과제 Ⅱ: 피해자 중심 해결』(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독도 영토주권과 국제법적 권원』(편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일협정 50년사의 재조명 Ⅴ』(공저, 역사공간, 2016), One Hundred Years after Japan’s Forced Annexation of Korea: History and Tasks(Eds., PeterLang, 2015)
요시자와 후미토시(吉澤文寿) 일본 니카타국제정보대학 교수 『日韓会談研究のフロンティア』(編著, 社会評論社, 2021), 『歴史認識から見た戦後日韓関係』(編著, 社会評論社, 2018), 『日韓会談1965 戦後日韓関係の原点を検証する』(高文研, 2015), 『戦後日韓関係国交正常化交渉をめぐって』(クレイン, 2015)
아베 코키(阿部浩己) 일본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수 『国際法を物語るI〜IV』(朝陽会, 2018〜2021), 『国際法の人権化』(信山社, 2014), 『国際法の暴力を超えて』(岩波書店, 2010), 『国際人権の地平』(現代人文社, 2003)
알렉시스 더든(Alexis Dudden) 미국 코네티컷대학 교수 Revisiting the Fifty Years of the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Ⅴ(Eds.,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16; in Korean), The Opening and Closing of Japan, 1850-2020(in process, under contract with Oxford), Troubled Apologies Among Japan, Korea, and the United States(Columbia University Press, 2008),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Discourse and Power(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translated into Korean in 2013)
하라 키미에(原貴美惠, Hara Kimie) 캐나다 워털루대학 교수 China-Japan Border Disputes: Islands of Contention in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Eds., Routledge, 2015), Northern Territories, Asia-Pacific Regional Conflicts and the Aland Experience: Untying the Kurillian Knot(Eds., Routledge, 2009), Cold War Frontiers in the Asia-Pacific: Divided Territories in the San Francisco System(Routledge, 2007), 『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の盲点』(渓水社, 2005)
이성환(李盛煥) 계명대학교 교수 『청일전쟁』(살림출판사, 2021), 『러일전쟁』(살림출판사, 2021), 『近代朝鮮の境界を越えた人びと』(共著, 日本経済評論社, 2019), 『일본 태정관과 독도』(공저, 도서출판 지식인, 2016) | ||
도서 소개 | ||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70년 역사의 조명과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구축 과제에 대한 선제적 모색 제2차 세계대전 전승국인 미국을 비롯한 48개 연합국과 패전국인 일본은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대한 책임을 청산하고 동아시아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1951년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발효 70주년을 맞이한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은 오늘날 동아시아 냉전체제의 역사와 영토갈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것은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을 통해 가해국임에도 최대 수혜국이 된 일본이 역설적으로 이 조약을 전제로 식민지책임과 전쟁책임을 부인하는 데서 제반 문제점이 비롯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70년의 역사와 과제를 조명한 국제 공동 연구성과로서, 조약 전문에서 명시한 유엔헌장 원칙의 준수와 세계인권선언의 실현 의무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영토갈등의 해법에서 나아가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과제를 선제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 ||
차례 | ||
발간사 동아시아 평화공동체 구축을 위한 제언 제1부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 역사와 평화공동체의 과제 제1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 역사와 미결의 과제• 도시환 제2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1965년 체제’의 원점• 요시자와 후미토시(吉澤文寿) 제3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평화공동체의 과제• 아베 코키(阿部浩己)
제2부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동아시아 영토갈등의 해결방안 제4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의 역사적 유산과 영토갈등• 알렉시스 더든(Alexis Dudden) 제5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동아시아 영토갈등의 기원• 하라 키미에(原貴美惠) 제6장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동아시아 영토갈등의 해법• 이성환 부록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연구 관련 자료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