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총서
한일 관계의 궤적과 역사인식
  • 작성일2020.09.28
  • 조회수1101

 

표지

한일 관계의 궤적과 역사인식

    

    

o 저자

조윤수, 남상구, 김숭배, 안도 준코, 최희식, 도가시 아유미, 엄태봉, 윤석정, 마츠우라 마사노부

o 사양

신국판 | 338

o 분류

연구총서 110

o 정가

18,000

o 발간일

2020 830

o ISBN

978-89-6187-551-6

    

    

    

저자

 

조윤수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한일관계의 궤적과 역사인식』(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한일협정과 한일관계』(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한일 역사 쟁점: 일제 식민지배와 극복』(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9), 『의제로 본 한일회담』(공저, 선인, 2010), 『한일관계사 1965-2015』(공저, 역사공간, 2015) 등


도서 소개


2010810일 일본의 간 나오토 총리는 강제병합 100년을 맞아 식민지 지배가 초래한 많은 손해와 고통에 대해 다시한번 통절한 반성과 마음으로부터의 사죄를 표명한다는 담화를 발표했다. ‘식민지 지배는 합법이라는 전제가 깔려있기는 하나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로 인해 큰 고통을 주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그동안 한·일 양국은 질적·양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역사 문제를 둘러싼 양국의 인식 및 과거사 청산 문제는 오늘날에도 현안이 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아베 신조 정권이 탄생하면서 역사수정주의 시각이 대중 사이에 폭넓게 퍼졌고, 이후 한·일 관계는 역대 최악의 상태에 놓였다. 19~20세기는 제국주의와 전쟁의 시대였다. 역사를 바라보는 기준이 국가에 따라 서로 달라 세계 곳곳에서 역사인식을 둘러싼 충돌이 벌어졌다. ·일간 역사 문제의 기원이 되는 일본의 한국 강제병합과 1965년 청구권협정 문제도 결국 역사인식의 차이에 따른 것이다. 이 책은 1945~2018년까지 한·일 양국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갈등과 외교정책을 국제 환경 변화와 국내 정치에 따라 3단계로 분석했다.

1단계는 한·일 관계가 강력한 냉전체제의 영향력 아래 놓여 있던 1945~1970년대까지다. 미국과 긴밀한 우호·협력 관계를 구축했던 시기로 한·일 관계도 반공을 위한 연대가 무엇보다 중요했다. 한일회담 체결 과정에서 식민지 지배에 대한 책임의식이 부재했다. 일본 역사학계조차 식민지 지배에 대해 반성하고 사죄해야 한다는 인식은 거의 없었다. 2단계는 1980년대로 양국 관계에서 역사 문제라는 화산이 폭발하기 시작한 시기이다. 일본 내에서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론이 등장한 것도 1980년대다. 이 시기 일본의 경제는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으며, 대국화 되면서 국제사회에서 역할이 강조됐다. 그 과정에서 식민지 지배에 대해 제대로 사죄와 배상을 해야 한다는 발언과 성명이 사회당 차원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3단계는 역사 문제가 외교와 국내 정치의 쟁점이 되는 1990년대 이후다. 한국에서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과거 국가가 저지른 범죄를 바라보는 시민들의 도덕적 기준이 높아졌다. 한국의 민주화와 더불어 영원할 것 같았던 냉전의 해체는 과거 억압된 권력에 의해 빼앗긴 개인의 권리 회복 요구로 이어졌다.

·일 양국이 지난 75년간 역사인식 차이로 인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지난 75년간 한·일 양국의 역사인식과 그것이 초래한 문제를 다룬 이 책이 현재 한·일 양국이 직면한 역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지혜를 찾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차례

 

책머리에

    

1. 일본 정부의 전후 처리와 역사인식_ 남상구

1) 서론

2) 일본 정부의 전후 처리와 역사인식에 대한 공식 견해

3) 일본 정부의 전후 배상과 식민지 처리

4)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역사인식

5) 결론

    

2. 해방과 전후의 한·일 관계 1945년 직후의 인식적 괴리_ 김숭배

1) 서론

2) 전쟁에 대한 일본의 시공간 인식

3) 전쟁에 대한 한국의 시공간 인식과 식민 문제

4) 결론

    

3. 한일회담 교섭 참석자의 인식 변화와 그 영향 어업 및 평화선 위원회를 중심으로_ 조윤수

1) 서론

2) 한일회담 어업위원회의 교섭 과정

3) 교섭 참석자의 한일회담에 대한 인식 변화와 영향

4) 결론

    

4. 1960~1970년대 한·일 양국의 대일·대한 인식_ 안도 준코

1) 서론

2) 1960년대: 협력과 현상 유지

3) 1970년대: 마찰과 협력

4) 결론

    

5. 전두환 정부하의 역사 문제 1980년대 한·일 역사 문제의 새로운 전개_ 최희식

1) 서론

2) ‘65년체제의 역사 문제 구조

3) 전두환 정부의 등장과 과거사 문제

4) 결론

    

6. ‘위안부문제에 관한 관방장관 담화의 책정 요인 외교적 요인과 정치외교이념을 중심으로_ 도가시 아유미

1) 서론

2) 선행 연구

3) 담화 발표의 경위와 쟁점

4) 1·2차 가토 담화와 고노 담화 및 한·일 관계

5) 결론

    

7.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간 담화, 한일도서협정을 중심으로_ 엄태봉

1) 서론

2) 간 담화와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

3) 한일도서협정과 일본 정부의 식민지 지배 인식의 연속성

4) 결론

    

8. 전후 70년 담화와 한국 무라야마 담화에 대한 덮어쓰기와 한국 배제_ 윤석정

1) 서론

2) 무라야마 담화와 아베 신조

3) 전후 70년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의 키워드

4) 국제질서, 관용 그리고 무라야마 담화에 대한 덮어쓰기

5) 전후 70년 담화와 한국

6) 결론

    

9. 역사화해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한·일 공동선언과 북·일 평양선언_ 마츠우라 마사노부

1) 서론

2) 김대중과 한·일 공동선언

3) 고이즈미 준이치로와 북·일 평양선언

4) 결론

    

찾아보기


 

파일
  • 파일이 없습니다.
독자리뷰0
    • @
※ 글자수는 1000자 이내로 제한됩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본인인증을 받으신 후 리뷰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현재 글자수 0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