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중국의 세계전략 Ⅰ'일대일로'와 동아시아, 갈등과 협력 | ||
|
| |
o 저자 | 차재복, 아반티 바타차리아, 정융녠, 류보젠, 뤄젠보, 김한권, 산딥 쿠마르 미쉬라, 왕지칭, 다즈강, 셰둥단, 양갑용, 리카이성, 류원보, 쉬페이위안, 도티엔삼, 정혜영, 홍성근 | |
o 사양 | 신국판 | 425쪽 | |
o 분류 | 연구총서 98 | |
o 정가 | 16,000원 | |
o 발간일 | 2019년 12월 30일 | |
o ISBN | 978-89-6187-499-1 | |
|
| |
| ||
저자 | ||
| ||
도서 소개 | ||
오늘날 중국의 세계전략은 지정·지경학적으로 인접한 동아시아와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역내 갈등과 협력 요인을 만들어내고 있다. 한국의 대중국 관계는 중국과 역사·영토·국경 갈등을 겪고 있는 인도, 베트남, ASEAN 일부 국가와 유사하다. 따라서 중국의 팽창전략과 ‘일대일로’에 대한 이들 국가들의 인식과 입장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동아시아 역내 갈등의 파고가 높아지는 시점에서 협력과 상생을 위한 물음에 한국, 중국, 인도, 베트남, 싱가포르 소재 대학과 싱크탱크 소속 관련 전문가 14명의 국제공동연구 결과를 엮은 것이다. 이 책이 한국의 중국 관련 연구 특히, 중국의 세계전략, 동북아 전략, 한반도 정책 연구를 위한 밀알이 되기를 바란다. | ||
차례 | ||
발간사
책머리에
총론 중국의 ‘일대일로’와 동아시아, 갈등과 협력_ 차재복 1. 현대 중국의 세계전략과 ‘일대일로’ 2. ‘일대일로’의 역사적·전략적 의의와 동아시아, 갈등과 협력 3. ‘일대일로’의 정책적 의의와 동아시아의 해양, 갈등과 협력
제1부 중국 ‘일대일로’의 역사적·전략적 의의와 동아시아, 갈등과 협력
중국 역사의 조공체계에서 본 ‘일대일로’의 이해: 인도-중국 관계의 시사점_ 아반티 바타차리아 1. 서론 2. BRI란 무엇인가? 3. BRI의 배경: 취약성 요소 4. 중국의 역사 속 취약성의 뿌리: RBI와 조공체계 비교 5. 중국의 BRI에 대한 평가 6. 인도-중국 관계에서 BRI의 시사점 7. 결론
‘일대일로’의 전략적 의의와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_ 차재복 1. 서론 2. 중국의 ‘일대일로’ 제안의 배경과 국제사회의 여론 3. ‘일대일로’의 전략적 의의 4. ‘일대일로’의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5. 결론
‘일대일로’와 중국의 국제적 지위·전략·안보_ 정융녠, 류보젠 1. 서론 2. 국제 전략과 ‘일대일로’의 관계 3. 국제적 지위 및 ‘일대일로’ 4. 중·미의 국제적 지위 경쟁에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5. 결론
‘일대일로’와 중국 특색의 대국외교_ 뤄젠보 1. 서론: ‘일대일로’란 정확히 무엇인가? 2. ‘일대일로’는 과연 무엇을 하려고 하나? 3. 결론 및 건의: ‘일대일로’ 건설에 필요한 몇 가지 총괄적 관계
미국이 바라보는 중국의 ‘일대일로’_ 김한권 1. 서론 2. 중국이 주창하는 ‘일대일로’ 구상의 배경과 의미 3. 미국이 바라보는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 4. 결론
중국의 ‘공세적’ 부상과 변화하는 아시아에 대한 인도의 대응_ 산딥 쿠마르 미쉬라 1. 서론 2. 중국의 ‘공세성’에 관한 배경 및 현상 3.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4. 변화하는 아시아 5. ‘인도-태평양 전략’과 ‘일대일로’에 대한 인도의 대응 6. 결론
‘일대일로’ 관광 및 한반도와의 연관성_ 왕지칭 1. 서론 2. ‘일대일로’의 시공간 초월성 3. 8세기 한반도로의 불교 전파와 불교학자의 여행 4. 15세기 최부의 여행-한반도와 해상실크로드의 연계 5. 리히트호펜이 기록한 19세기 봉황성의 중·조무역 6. 만리차도의 지역간 관광협력 7. 결론
중국의 新동북진흥정책에 따른 동북지역과 ‘일대일로’의 연계 현황_ 다즈강, 셰둥단 1. 서론 2. ‘일대일로’ 제안과 전면적 동북진흥 3. 동북지역의 ‘일대일로’ 참여에 관한 진전 사항 4. 결론: 동북지역과 ‘일대일로’ 연계 협력 전망
제2부 중국 ‘일대일로’의 정책적 의의와 동아시아의 해양, 갈등과 협력
중국 ‘일대일로’의 정책적 의미 연구_ 양갑용 1. 서론 2. 중국 정책과정과 ‘일대일로’ 3. ‘일대일로’의 정책적 의미 4. 결론
동남아시아에서의 ‘일대일로’: 정치와 경제의 상호작용_ 리카이성 1. 서론 2. 동남아시아에서 추진하는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의 경제적 배경 3. ‘일대일로’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요인 4. 정치와 경제의 상호작용: 중국 정책과 아세안의 반응 5. 결론
북극 실크로드 건설 및 새로운 한·중 협력_ 류원보, 쉬페이위안 1. 서론 2. 러시아의 북극개발 및 북극항로의 건설 3. 중국의 ‘북극 실크로드’ 건설 이니셔티브 4. 한국의 ‘신북방’ 정책 5. ‘일대일로’ 차원에서 한·중 ‘북극 실크로드’ 건설 협력 강화 6. 결론
베트남 ‘양랑일권’과 중국 ‘일대일로’의 전략연계_ 도티엔삼 1. 서론 2. 1991년 이후 베트남-중국 관계 3. 베-중 ‘양랑일권’과 중국 ‘일대일로’ 전략 연계 4. 중국 ‘일대일로’ 구상 5. 베-중 양랑일권과 ‘일대일로’의 전략 연계 문제 6. 결론
중국 ‘일대일로’ 구상에 대응하는 베트남의 헤징- 국경 경제협력과 남중국해 갈등을 중심으로_ 정혜영 1. 서론 2. 중국 ‘일대일로’ 대외전략 패러다임의 전환과 동아시아 질서 3. 베트남과 중국의 구조적 갈등과 협력전략 4. 베트남의 대중국 헤징(hedging) 5. 결론
국제법으로 본 남중국해 분쟁의 현황과 과제_ 홍성근 1. 서론 2. 남중국해 분쟁의 주요 현황과 쟁점 3. 중국과 베트남의 육지 및 해양 분쟁 해결 사례 4. 국제법상 논의 가능한 분쟁 해결 수단과 과제 5. 결론
찾아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