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속의 한국사 (동북아역사재단)
- 과정명 : 2017년 동아시아속의 한국사(직무연수) - 대상 : 초등, 중등 역사 교사 - 장소 : 동북아역사재단 대회의실 - 연수 경비 : 연수비 무료, 단 숙식비는 개인 부담 - 일정 및 인원
|
○ 연수 주요 내용
- ‘동아시아 속의 한국사’를 주제로 한국과 동아시아 역사에 대한 강의
및 현장 답사를 통해 교사들의 ‘동아시아사’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
- ‘동아시아사’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고,
동북아 역사 현안에 대한 연수를 진행하여 교사의 교과지도 전문성 향상
○ 수료기준 및 평가
- (수료기준) 연수 시간의 80% 이상 출석 시 수료
- (평가) 별도의 평가는 없으며, 연수의 질 제고를 위한 설문 실시
※ 설문 결과는 연수 프로그램 개선에 활용
○ (문의처)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독도교육연수원
☎ (02) 2012-6137, 6138
○ 연수 교육과정
【초등과정】(5일, 30시간)
시간 일자 | 1교시 | 2교시 | 12:20 ~13:30 | 3교시 | 4교시 |
09:30~11:00 | 11:00~12:20 | 13:30~15:00 | 15:00~16:20 | ||
7.31. (월) | 동아시아 평화와 공존을 위한 역사수업 | 중식 | 동아시아 평화와 역사문제 | 고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
황은희(서울 창원초) | 이현주(동북아역사재단) | 박선미(동북아역사재단) | |||
8.1. (화) | 고구려와 동아시아사 | 발해의 역사와 문화 | 중식 | 북방 유목민족의 역사와 문화 | |
김현숙(동북아역사재단) | 임상선(동북아역사재단) | 김장구(동국대) | |||
8.2. (수) | 10-12세기 동아시아 세계와 고려 | 근대 동아시아 외교사 | 중식 | 초등 교사를 위한 새로운 조선시대사 | |
이장욱(동북아역사재단) | 김민규(동북아역사재단) | 김호(경인교대) | |||
8.3. (목) | 고지도로 본 동해 독도 | 증언과 문서, 사진으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 중식 | 일본 교과서 속의 한국사 서술 | 중국 초등 교과서 속의 한국사서술 |
김종근(동북아역사재단) | 서현주(동북아역사재단) | 남상구(동북아역사재단) | 김정현(동북아역사재단) | ||
8.4. (금) | 동아시아 맥락에서 가르치는 초등역사 | 중식 | 초등 역사수업 사례 | ||
강선주(경인교대) | 김은희(파주 봉일천초) |
※ 연수 교육과정은 강사 및 기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중등과정】(5일, 30시간)
시간 일자 | 1교시 | 2교시 | 12:20 ~13:30 | 3교시 | 4교시 |
09:30~11:00 | 11:00~12:20 | 13:30~15:00 | 15:00~16:20 | ||
7.24. (월) | ‘동아시아 속의 한국사’ 어떻게 이해하고 가르칠 것인가 | 중식 | 동아시아 평화와 역사문제 | 고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
이근명(한국외국어대) | 이현주 (동북아역사재단) | 박선미 (동북아역사재단) | |||
7.25. (화) | 고구려와 동아시아사 | 전근대 중국의 사서편찬과 외국인식 | 중식 | 몽골제국과 팍스몽골리카 | |
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 김정희 (동북아역사재단) | 이평래(한국외국어대) | |||
7.26. (수) | 10-12세기 동아시아 세계와 고려 | 일본교과서 속의 한국사 서술 | 중식 | 동아시아 시각의 베트남사 | |
이장욱 (동북아역사재단) |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 노영순(해양대학교) | |||
7.27. (목) | 고지도로 본 동해 독도 | 근대 동아시아 외교사 | 중식 | 동아시아사 교육 연구동향 | |
김종근 (동북아역사재단) | 김민규 (동북아역사재단) | 김정현(동북아역사재단) | |||
7.28. (금) | 중국의 한국사교육, 중국교과서 속의 한국사 서술 | 중식 | 수업활용 사례 발표 | ||
김지훈(성균관대) | 박성기(하남고) |
※ 연수 교육과정은 강사 및 기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첨부파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