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동북아역사재단,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공동주최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국제학술회의> 개최
  • 조회수 473
  • 작성자 관리자

 

 

동북아역사재단,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공동주최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국제학술회의> 개최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

 

 

북아역사재단(이사장 박지향)과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신순철)1015()부터 16()까지 동북아역사재단 대회의실에서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국제학술회의: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연구의 새로운 접근>을 공동 개최한다.

 

올해는 1894년 청일전쟁(1894-1895)과 그 직접적인 계기가 된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난 지 13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이번 국제학술회의는 국제적인 시야에서 청일전쟁과 동학농민혁명에 대해 그동안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여러 주제를 새롭게 검토하여 이 사건들이 현재에 주는 교훈과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자 기획되었다. 한국과 미국, 일본, 중국의 연구자 30여 명이 참석하여 발표와 토론을 진행한다. 세션은 3부로 나누어 진행된다.

 

1부는 한국 근대사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서양 열강들의 인식과 태도를 검토한다. 한동훈 연구원(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유바다 교수(고려대), 김태웅 교수(서울대), 권의석 교수(원광대), 장경호 선임연구원(강원대)이 각각 러시아, 독일, 프랑스, 영국, 미국의 외교문서 또는 언론보도에 담긴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각국의 태도에 대해 발표한다.

 

2부는 국제관계와 군사기술 발전의 맥락에서 청일전쟁 개전의 계기와 일본의 전쟁 수행 실태를 검토한다. 신효승 연구위원(동북아역사재단)19세기 후반 영국 해군의 전력 변화와 영국의 동아시아 전략이 청일전쟁에 미친 영향을 논의한다.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 최덕규 교수(고려대)근대 국제 통신수단인 전신 기술을 활용한 정보전의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청일전쟁 당시 일본의 청국 암호 해독 등 여러 문제를 다룬다. 모리 마유코(森万佑子) 교수(일본 도쿄여대)는 조선 정부가 동학농민혁명 진압을 위해 청군 파견을 요청하기까지의 정책 결정 과정을 국제정치적인 맥락에서 재검토한다. 웨이천광(魏晨光) 연구원(중국 산둥대)은 청일전쟁 당시 해외에 파견된 일본군 부대의 보급을 위한 병참 제도 구축의 실태를 다룬다.

 

3부는 한중관계사와 중국사의 측면에서 청일전쟁의 여러 문제를 검토한다. 이동욱 연구위원(동북아역사재단)은 청일전쟁의 배경이 되는 청의 조선에 대한 종주권 주장을 중심으로 근대 한중관계사의 흐름을 되짚는다. 쉬춘젠(許存健) 연구원(중국 산둥대)은 청일전쟁 시기 청의 군비 조달 문제가 청일전쟁 패전의 원인 중 하나였다고 분석한다. 리짜이취안(李在全) 연구원(중국사회과학원)은 청일전쟁 시기 중국 남부 지방의 한 중국인 지식인의 일기를 바탕으로 당시 중국 민간의 청일전쟁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분석한다. 한국 화교사 연구자인 이정희 교수(인천대)는 청일전쟁 이후 한중관계가 단절된 1895~1899년까지 본국 정부의 보호를 받지 못하게 된 한반도 화교들을 둘러싼 국제관계의 셈법을 조선 정부의 태도와 청 정부의 위탁을 받은 영국 정부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커크 라슨(Kirk W. Larsen) 교수(미국 브리검 영대)는 국제정치와 한중 양국의 민족 정서, 경제 교류와 인구 이동 등 여러 측면에서 청일전쟁이 한중 관계의 중요한 전환점이었다는 일반적인 인식을 재검토한다.

 

학술회의 이튿날인 17()에는 해외 참가자들을 포함하여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소재한 정읍 일대의 동학농민혁명 관련 사적지를 답사, 국내외 학자들의 관련 역사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제고할 예정이다.

 

 

<붙임1> <청일전쟁·동학농민혁명 130주년 국제학술회의> 프로그램 1. .